▶ 50만 난민 추방 추진 복지확대·세금삭감 등 최악 시나리오 현실화

새롭게 태어난 이탈리아 연정 총리 기우세페 콘테가 1일 로마 총리 집무실에서 첫 내 각 회의를 시작하며 작은 종을 흔들고 있다. [AP]
유럽연합(EU)의 창설 공신인 이탈리아에 1일 반 EU 성향의 포퓰리즘 정권이 출범했다.
‘설마 현실화 되랴’ 싶었던 서유럽 최초의 포퓰리즘 정권이 EU의 통합에 앞장서던 이탈리아에 들어서자 EU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지금은 입장을 변경하긴 했지만 집권 시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탈퇴를 국민투표에 부치겠다고 꾸준히 이야기해 온 반체제정당 오성운동과 반난민, 반EU 성향을 드러내 온 동맹이 손을 잡은 세력이 집권하는, EU로서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이탈리아를 넘어 유럽 전체의 금융 시장에까지 타격을 주던 정치 불확실성이 걷히며 일단 금융 시장이 안정을 되찾은 것은 반갑지만, EU의 위기는 이제부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오성운동-동맹 연정은 지난 달 발표한 공동 국정운영안에 복지 확대와 세금 삭감 등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이 불가피할 공약을 담은데다, EU와의 주요 협정에 대한 재협상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혀 일찌감치 EU와의 충돌을 예고했다.
대러시아 제재에 대한 반대, 50만 명에 이르는 불법난민 추방 추진, 다른 유럽 국가로의 즉각적인 난민 분산 촉구 등 이들이 내세우는 다른 정책 역시 EU와의 엇박자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다만, 애초 양당의 연정 구성 합의안 초안에 들어있던 유로존에 대한 선택적 탈퇴 체계 마련, 2,500억 유로의 이탈리아 부채 탕감 등의 극단적 조항이 빠진 것은 EU로서는 다행스러운 부분이다.
또한, 이탈리아의 유로화 가입을 ‘역사적 실수’라고 주장하며 유로화 탈퇴 대비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파올로 사보나(81)가 세르지오 마타렐라 대통령의 저지로 재정경제부 장관 자리에 앉는 것이 불발된 것에도 가슴을 쓸어내리고 있다.
하지만, 사보나가 내각 명단에서 살아남아 EU와 이탈리아의 관계를 조율할 EU관계 장관으로 임명된 것은 껄끄러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이탈리아의 존엄과 미래, 사업체와 심지어 국경까지 팔아넘기는 (EU의)노예가 되지 않겠다”며 EU에 대한 불만을 공공연히 표출하는 마테오 살비니 동맹 대표가 내무장관 겸 부총리로 입각한 것도 EU로서는 부담스러운 요인이다.
그리스에 이어 역내 2번째인 국내총생산(GDP)의 약 132%의 부채를 지고 있는 이탈리아의 새 정부가 저소득층에 월 780유로(약 1,000달러)의 기본소득 지급, 세금 인하, 연금 개혁안 철폐 등의 공약을 실현하며 예산을 방만히 운용할 경우 그리스식 채무 위기가 닥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도 EU로서는 큰 고민거리다.
경제 규모가 그리스의 약 10배, 국가 부채의 총계는 약 7배에 달하는 이탈리아가 디폴트(채무 불이행) 처지에 놓인다면 이는 EU 전체의 위기로 번질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