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단체가 이번 사태에 대한 입장을 담아 한인들에게 전달한 공문.
한인사회 ‘먼나라… ‘파문 고심
무대응땐 자칫 문제 장기화 우려
“한인 비즈니스 등 선의 피해 없길”
한인사회 관계자들은 ‘먼나라 이웃나라’의 유대인 비하에 대한 유대인 커뮤니티의 반발에 대해 지난해 한인들의 분노를 샀던 ‘앤드류 영’ 망언 사태에 빗대며 “이해할 수 있는 일”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한국에서 촉발, 미국의 유대인을 자극한 사태가 한인 커뮤니티로 불똥이 튄 데 대해 한인단체 관계자들은 “안타까운 일”이라면서도 유대인 커뮤니티의 도움 요청에 무대응으로 나설 경우 자칫 “호미로 막을 일, 가래로 막게 된다”며 이 문제가 확산돼 한인사회에 대한 부정적 인상이 심어지지 않도록 조기 봉합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한인단체 인사들은 이 교수가 사과 의사를 밝힌 만큼 사이먼 위센탈 센터와 윌셔 블러버드 템플 등 유대인 커뮤니티 관계자와 함께 조속히 기자회견을 열고 유대인 비하에 대한 비난과 한인 커뮤니티의 우려를 전달, 이번 기회를 유대인 커뮤니티와 관계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문제가 장기화될 경우 아메리칸유대인 커미티(AJC) 등 강력한 유대인 단체가 개입해 미국내 한인의 이미지 악화 등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번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나서고 있는 한인단체는 1.5세단체인 한미연합회(KAC)와 1세 중심의 재미동포애국행동본부 등이며, 총영사관 및 LA한인회 등도 깊은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KAC 전국연합의 찰스 김 회장은 “앤드류 영이 한인 커뮤니티에 말 잘못 했다가 얼마나 큰 고초를 치렀느냐”고 반문한 후 “유대인을 그렇게 묘사하는 것은 분명 인종차별주의”라고 강조했다.
한편 유대인이 많이 소유하고 있는 자바시장의 건물에 입주해 있는 한인 의류·봉제 비즈니스 관계자들은 혹 사태 악화가 한인들의 불이익으로 이어지지 않을까도 우려하고 있다.
한인 의류협회의 명원식 회장은 “그런 일이 발생하지 말라는 보장이 없지 않느냐”고 덧붙였다.
그러나 한인 커뮤니티의 고민은 유대인 커뮤니티에만 있지 않다.
이번 사태가 MBC와 SBS 등 한국의 언론을 통해 한국에 보도됨에 따라 반미감정이 강한 한국에서 이 교수를 옹호, 한인들을‘유대인편에 선 한인’으로 몰아붙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 한인은 안타깝게도 “한국의 여론이 우리에게 우호적이지 않을 것임은 뻔하다”며 한국과 유대인 양 커뮤니티에 낀 상황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원복 교수 인터뷰>
“반유대주의 아니다”
덕성여대 이원복 덕성여대 교수는 “인종차별주의자도 아니고 친중동계 인사도 아니다.
저술을 위해 수집한 여러 자료에 의해 편견없이 외부자 입장에서 사실을 전달하려고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동감하는 내용에 대해 유대인 커뮤니티가 확대 해석을 하는 것 같다”며 “세상에는 다양한 관점의 의견이 존재하고 있다.
모든 것이 당사자에게 유리한 쪽으로만 해석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 교수는 이어서 “너무 막강한 파워를 지니고 있으면 타자의 관점을 이해하지 않으려는 일종의 횡포를 부릴 수도 있다”며 큰 힘을 가진 자일수록 넓은 포용력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유대인 커뮤니티의 막강한 영향력을 잘 알고 있다면서 “이 문제가 확산돼 유대인과 매일 맞닥뜨려야 하는 한인들에게 피해가 가는 것은 절대 원하지 않는다”며 “저의 사과가 문제 확산을 막는다면 기꺼이 사과하겠다”고 미국내 한인 사회에 대한 염려의 말을 전했다.
<쿠퍼 랍비 인터뷰>
“시판중 책 수거해야”
“유대인이 돈과 언론, 정치를 장악하고 전쟁의 이익을 취한다는 말이 나치가 (홀로코스트를 일으키기 전)한 말과 무엇이 다르냐? 우리를 악마처럼 묘사하고 있다”
유대인 인권단체 사이먼 위센탈 센터의 부소장인 아브라함 쿠퍼 랍비는 이 교수가 사과 의사 표명과 관련, “재능있는 만화 작가가 사실을 왜곡해 유대인에 대한 나쁜 이미지를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심어주는 것은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며 “이 교수가 본인이 반유대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한다면 출판사측에 시판 중인 책 수거를 요청해 반유대주의자가 아니란 것을 입증해 보이라”고 확실한 조치를 요구했다.
<이석호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