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연설서‘관세장벽’적극 활용 천명
▶ 에너지 파워 과시·인프라 투자도 강조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이 6일 백악관 앞에서 중국과의 무역협상과 관련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AP]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5일 신년 국정연설에서 한층 강화된 보호무역 기조를 예고하면서 트럼프 행정부 3년 차를 맞아 ‘관세장벽’을 앞세운 보호무역주의에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또 무역정책에 대해선 대대적인 손질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히며서 이른바 ‘셰일 혁명’으로 상징되는 미국의 에너지 파워, 초당적인 ‘인프라 투자’ 뒷받침 등도 거듭 강조했다.
■보복관세 플랫폼 입법 촉구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 정책에서 시종 초점을 맞춘 것은 ‘무역’이다. 공정성이라는 잣대를 내세우기는 했지만, 미국 시장의 관세장벽을 더 과감하게 활용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일종의 ‘관세 팃포탯’(tit-for-tat·맞받아치기)을 본격화하겠다는 셈이다.
연방 의원들에게 이른바 ‘호혜무역법’(Reciprocal Trade Act) 입법화를 촉구한 게 대표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다른 국가가 미국산 제품에 불공정한 관세를 부과한다면, 그들이 우리에게 판매하는 같은 제품에 정확하게 같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호혜무역법에서는 현직 대통령의 관세 권한이 대폭 확대된다. 정치전문 폴리티코는 호혜무역법에 대해 “미국산 수출품이 불공정하게 다뤄진다고 판단되면, 현직 대통령이 특정 수입품의 관세를 올리거나 해당 국가의 관세·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협상에 곧바로 들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매파 보호 무역론자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이 입법화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폴리티코는 덧붙였다.
일차적인 타깃은 중국에 맞췄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놀라운 경제적 성공을 이루기 위해서 수십 년간의 재앙적인 무역 정책들을 뒤집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수십 년간 우리 산업을 겨냥하고 우리의 지식재산권을 훔쳤다”면서 “이러한 미국 일자리와 부의 도둑질을 끝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동안 2,500억 달러어치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했고, 미 재무부는 그동안 우리에게 10센트도 내지 않았던 국가로부터 수십억 달러를 거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비난하지 않겠다. 이런 엉터리가 일어나도록 했던 우리 지도자들의 책임”이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존경하고 지금 새로운 무역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그것은 불공정한 무역관행을 끝내고 만성적자 적자를 줄이고 미국 일자리를 지키는 구조적인 변화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나프타(NAFTA·북미자유무역협정)도 비판대에 올리면서 새로운 자유무역협정인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이 미국의 제조업을 지키고 지식재산권을 보호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프라 투자 초당적 협력 촉구
지난 2년간 경제적 호황을 부각하는 데에도 주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4개월의 빠른 진전 덕에 우리 경제는 세계의 부러움을 받고 있다”면서 “전례 없이 경제의 활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반세기 만의 최저 수준인 실업률, 폭넓은 감세 조치, 대대적인 규제 완화 등을 나열하면서 “취임 당시와 비교하면, 미국 경제는 거의 갑절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경제”라고 말했다.
특히 미국이 60여년 만에 ‘에너지 순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한 것을 거론하면서 “우리는 미국의 에너지 분야에서 혁명을 일궈냈다. 미국은 이제 세계에서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 1위 국가”라고 덧붙였다.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에너지업계에 우호적인 트럼프 행정부 정책을 부각하려는 취지로도 해석된다.
사회기반시설(SOC) 투자에 대해선 “두 정당(공화당과 민주당)은 미국의 위대한 인프라 재건을 위해 힘을 합칠 수 있어야 한다”고 초당적 협력을 촉구했다.
■므누신 “포괄적 무역합의 노력”
이와 관련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이 다음 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고위급 무역협상을 이어간다고 밝혔다.
므누신 장관은 6일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무역협상 시한(3월1일)을 맞추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광범위한 이슈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합의를 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월스트릿저널(WSJ)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므누신 재무장관이 내주 초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트럼프 각하 잘 하고 계십니다. 특히 진핑이와 재인이를 뭉게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