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크 추모식에 10만명 몰려
▶ 쌓였던 진영갈등 폭발 현장
▶ 트럼프 ‘좌파와의 전쟁’ 예고
▶ 일부 진보단체 테러집단 지정
▶ 비판 언론 면허 취소 등 협박

21일 애리조나주 글렌데일의 스테이트팜 스테디엄에 많은 인파가 몰린 가운데 찰리 커크 추모 행사가 열리고 있다. [로이터]
우파 정치 활동가 찰리 커크의 암살 사건을 계기로 미국 사회의 분열과 불신이 격화하고 있다. 정치 폭력과 갈등에 경제 불확실성까지 겹치자 한 조사에서는 미국인의 75%가 ‘미국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해 충격을 줬다. ‘미국은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이 부상하는 와중에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사회 통합 대신 이를 지렛대 삼아 좌우 편 가르기에 나서며 갈등을 더욱 극단으로 몰아가고 있다.
21일 애리조나주 스테이트팜 스테디엄에서 트럼프 대통령 등 백악관 핵심 인사들이 총출동한 가운데 커크의 공식 추모 행사가 진행됐다. 최대 7만3,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스타디움에 약 10만 명의 인파가 몰렸다.
커크의 추모식은 그동안 쌓였던 미국의 진영 갈등이 폭발하는 현장이었다. 추모식 이틀 전인 19일 연방 하원에서는 커크의 삶을 기리고 정치 폭력을 규탄하는 추모 결의안이 찬성 310표, 반대 58표로 가결됐다. 공화당에서 215명이 찬성했으며 민주당에서는 95명이 찬성, 58명이 반대했다.
이날 논의에서는 반대표를 던질 경우 정치적 위협이나 폭력에 노출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민주주의의 상징인 의회가 투표할 때조차 폭력과 보복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추모식 당일에도 권총과 칼 여러 자루를 소지한 남성이 추모식장에 진입하려다 체포되며 진영을 드러냈다.
극도의 분열 속에서도 정치권은 사회 통합 노력 대신 진영 갈등에 골몰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커크의 죽음 이후 ‘좌파와의 전면전’을 예고하고 진보 척결에 공권력을 투입하고 있다. 일부 진보 단체를 테러단체로 지정하는 한편 국방부에서는 커크를 내세워 신병 모집을 하는 방안까지 내놓았다.
이런 상황을 비판하고 보도해야 할 언론은 그 어느 때보다 위축된 상태다. 트럼프 행정부는 비판적인 언론사에 면허 취소까지 언급하며 최대 압박을 가하고 있다. ABC방송이 커크의 죽음에 대해 비판적 언급을 한 지미 키멀의 방송을 폐지하기로 결정한 것이 대표적이다. 주요 언론을 상대로 거액의 소송을 제기해온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또 다른 언론 길들이기도 추진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국방부는 19일 언론사에 비공개 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용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요구하며 불복할 경우 취재 자격을 박탈하겠다고 발표했다. 빅터 피카드 펜실베니아대 교수는 “현재 미국 주요 미디어 대부분에서 우파 성향이 계속되고 있다”며 “앞으로 더 많은 일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상쇄할 방법은 보이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미국 내에서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AP통신과 시카고대 여론조사센터(NORC)가 미국 내 성인 1,183명을 대상으로 이달 11일부터 15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75%에 달했다. 이는 6월 조사 대비 13%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4%에 불과했다.
특히 공화당 지지층의 변화가 눈에 띈다. 공화당 지지자 중 미국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6월 29%에서 이번 조사에서는 51%로 상승했다.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6월 70%에서 49%로 크게 떨어졌다. AP는 “공화당 지지자들의 변화는 정치적 폭력과 사회적 불화에 대한 우려가 계속된 탓”이라며 “커크 암살 사건이나 일자리, 경제, 범죄 등에 대한 우려도 부정적인 전망이 늘어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