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진 피해 구마모토 주민들 절박한 상황 속 질서·배려 빛나
▶ 물배급장소에 300m 줄섰지만 질서유지요원 필요없어

17일 구마모토시 스나토리 초등학교 강당에 피난민들이 모여있는 모습.
연쇄 지진으로 수십명이 사망하고 16만명 이상이 피난중인 일본 구마모토(熊本)현에서는 각종 재난과 '벗'한 채 살아야 하는 일본 사회의 숨은 저력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개개인의 몸에 밴 질서의식과 타인에 대한 배려였다.
기자는 규모 6.5의 첫 강진이 발생한 지 나흘째인 17일 구마모토 시 주오(中央)구 곳곳에서 이재민들 생활을 가까이서 눈으로 볼 수 있었다.
세계 최선진국에 사는 사람들이지만 상점들이 대부분 문을 닫아 돈이 있어도 물건을 살 수 없고, 물 공급마저 끊겼기에 생활이 고달프기는 여느 나라의 이재민들과 매 한가지였다.
구마모토현이 지정한 피난소인 스나토리(砂取) 초등학교 강당의 마룻바닥은 그나마 나았다. 이곳에 들어가지 못한 사람들은 구마모토 현청의 시멘트 바닥에 종이 박스 등을 깔고 새우잠을 자야했다. 오전 4시 40분께 감지된 강력한 여진 때문에 일찍 잠에서 깬 현청 내 이재민들의 얼굴에는 피로의 기색이 역력했고, 새벽 추위 때문인지 곳곳에서 기침소리도 들렸다.
정식 피난소가 아닌 탓에 현청의 이재민들은 '자급자족'해야했다. 전날 한차례 도넛과 생수를 나눠주긴 했지만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아니기에 집에 남아있는 비상식량을 가져오고, 인근 구마모토시 상하수도국에 몇시간 씩 줄을 서서 물을 배급받아야 했다.
오전 5시께 자급자족에 실패한 한 할아버지가 사람들이 누워 있는 현청 1층에서 큰 소리로 "먹을 것이 다 떨어졌다"며 하소연을 하고 다녔다. 그러자 중년 여성 2명이 앞다퉈 그에게 다가가 가지고 있던 음식을 건넸고, 할아버지는 "눈물이 날 정도로 고맙다"고 몇번을 인사했다.
정식 피난소인 스나토리 초등학교에서는 때마침 아침 식사로 죽 배급이 이뤄지고 있었다. 가족단위로 4명까지는 한 그릇, 그 이상은 두그릇에 나눠 가족수에 따른 정량을 배급했다. 반찬도 없고 양도 부족해보였지만 더 달라고 다시 줄을 서는 사람은 찾아볼 수 없었다.

17일 구마모토 시 스나토리 초등학교에서 죽배급을 하는 모습
죽 배급을 맡은 한 중년 여성은 "1차 배급이 끝난 뒤 남으면 더 달라는 사람에게 더 주는데, 1차 배급이 끝나기 전에 더 달라고 오는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고 전했다.
어머니와 아내, 다섯자녀 등 총 여덟 식구의 가장인 노하라(45) 씨는 두그릇에 담긴 죽을 먼저 아이들에게 먹이고 있었다.
노하라 씨의 어머니(69)는 "상황이 어려운데 이 정도라도 먹을 수 있는 것은 정말 감사한 일"이라고 말했다.

17일 물공급이 끊긴 탓에 학부모들이 배급한 죽의 식기를 종이 타올로 닦는 것으로 설겆이를 대신하고 있다.
또 현청에서 5분 거리의 상하수도국 앞에는 물을 배급받으려는 사람들이 300m 넘게 줄 서 있었다.
길게는 두세시간씩 기다려야 했지만 다들 조용히 자기 차례를 기다렸다. 새치기하거나 정량보다 더 받아가려는 사람은 보이지 않았기에 따로 질서를 유지하는 공무원도 없었다.

물배급을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는 구마모토 시민들.
인근 구마모토상업고등학교는 정식 피난소가 아니었지만 피난소에 못 들어간 이들을 위해 학교 공간을 제공했고, 이 학교 교사와 학생들은 600여 피난민들을 위해 여러가지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있었다.
변기용으로 쓰기 위해 교내 풀장의 물을 떠오느라 땀을 뻘뻘 흘리던 3학년생 마쓰나가(18) 군은 "다들 힘들어 하고 있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을 한다는 마음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이 학교에 둥지를 튼 이재민 요네자와(35) 씨는 "모두들 가진 것은 부족하지만 서로 먹을 것 등을 나눠가며 지낸다"고 전했다.
또 거의 모든 상점이 문을 닫은 상황에서 현청 바로 옆의 한 선술집은 영업을 하는 대신 계란 하나와 닭고기 장조림 몇점을 각각 은박지에 싸놓고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있었다. 16일 밤, 그곳을 지나가던 기자가 파는 것인 줄 알고 "얼마입니까"라고 묻자 선술집 사장은 손사레를 치며 "이것밖에 없지만 괜찮으시면 드시고 힘 내라"고 답했다.

물 배급받고 돌아가는 이재민.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