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울 때, 절실히 도움과 위로가 필요할 때, 막상 찾아갈 사람이 단 한사람도 없음을 알고 놀라움과 함께 인생을 한참 잘못 살아온 것 같아 한없이 슬퍼진다는 사람들이 있다. 특히 똑똑하다든가, 남들 도움 없이 한창 잘나가던 소위 성공한 사람들의 경우에 더욱 그런 것 같다.
이런 말이 있다. “잘나갈 땐 온갖 사람들이 그 주위에 몰려드나 그렇지 못한 땐, 모든 이들이 떠나며, 오직 병마 등 반갑지 않은 손님들만 찾아온다”고.
그래서 평소 덕을 쌓으라는 얘기를 많이 하고 또 듣고 있다. 3대의 덕을 쌓아야 그 후손의 장례 날에 일기가 쾌청하다는 옛사람들의 말을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친구란 참 좋은 존재이다. 저쪽에서 이렇게 해주기를 바란다면, 더 더욱 이쪽에서 먼저 다가가 무언가 진정으로 해 주어야 한다. 반대급부를 생각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그저 좋아서 하는 것이다.
지난 주말에 한 친구의 고희연에 다녀왔다. 눈에 띠는 하객 중엔 병마에서 시달리며 고군분투하고 있는 분이 있었다. 그렇지 않아도 어떻게 위로해드려야 할 지 몰랐었는데, 고희를 맞은 친구가 이분을 초청한 배려 깊은 마음에 찡함을 느꼈다. 병마로 고통 중에 있는 그 분과 아무 말은 비록 못했지만 포옹과 오랫동안 쥔 양손 악수로 서로 할 말은 다한 것 같았다.
중국의 고사가 생각난다. 백아절현(伯牙絶絃)이 그것이다.
중국 진나라 때 유백아라는 거문고의 대가가 사신으로 고향 초나라에 갔을 때, 휘영청 밝은 달밤에 거문고를 뜯으니 종자기라는 고향 친구가 거문고 소리를 듣고 있었다. 놀랍게도 백아가 강물을 바라보고 거문고를 켜면, 종자기도 강물을 쳐다보았다.
그리하여 두 사람은 고향 친구에서 의형제로 발전했다. 이듬해 다시 고향을 찾았을 땐, 종자기는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어서, 백아는 거문고를 마지막 켜고 줄을 끊어 버렸다. 내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 이 세상에 없음을 슬퍼한 것이었다.
이런 경지의 친구관계를 지음지교(知音之交)라 하며, 친구관계에서 으뜸으로 여기고 있다. 친구 관계뿐이겠는가? 모든 인간관계에서 해당되어져야 할 좋은 표본이다.
서로 허물을 덮어주고 마음을 헤아려 주는 것은 친구 관계, 연인 관계 아니 모든 인간관계에서 선택 아닌 필수여야 하겠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