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영화감독 김기덕이 11일(현지시간) 발트3국 가운데 하나인 라트비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사망했다고 타스 통신이 발트 지역 언론 델피(Delfi)를 인용해 보도했다. 사진은 지난 2014년 10월 5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우동 영화의전당에서 열린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아주담담 - 로쟈, 김기덕을 만나다’에서 환하게 웃고 있는 김기덕 감독의 모습.
김기덕 감독이 라트비아에서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김 감독의 가족이 현지 관계자로부터 비보를 확인하고 충격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영화계에서도 애도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일(현지시간기준) 라트비아 매체 델피는 러시아 아트독페스트 영화제 예술감독인 비탈리 만스키의 말을 인용해 라트비아에 머물고 있던 김기덕 감독이 이날 현지의 발트 병원에서 코로나19 합병증으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기덕 감독은 러시아와 에스토니아를 거쳐 11월 20일부터 라트비아에 머물러왔다. 그는 라트비아 북부 유르말라에서 집을 매입하고 거주 허가를 받았지만 지난 5일 이후 연락이 두절됐다. 김 감독이 약속 장소에 나오지 않자 만스키 감독이 동료들과 수소문한 끝에 김기덕 감독이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는 소식을 접했다는 것.
이 같은 소식에 대해 김기덕 감독과 작품 활동을 오래 해온 김순모 프로듀서는 스타뉴스에 "(김기덕 감독) 가족분에게 확인한 결과 외신 소식이 맞다고 한다"며 "가족들도 오늘 연락을 받았다고 한다"고 밝혔다. 김기덕 감독의 현지 통역을 담당하던 사람이 김 감독 가족들에게 비보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전양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이 SNS를 통해 김기덕 감독의 사망소식과 애도를 전했다. 전 집행위원장은 "키르기스스탄의 평론가 굴바라 톨로무쇼바로부터 카자흐스탄에서 라트비아로 이주해서 활동하던 김기덕 감독이 자신의 환갑일 12월 20일을 불과 한 주 앞두고 코로나19로 타계했다는 충격적인 비보를 들었다"라고 알렸다.
이어 "발트 병원에 입원한 지 이틀 만인 오늘 사망했다고 한다. 한국 영화계에 채울 수 없는 크나큰 손실이자 슬픔이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고 전했다.
한편 김기덕 감독은 1996년 '악어'로 데뷔한 뒤 '파란 대문', '섬', '실제상황', '해안선', '나쁜 남자',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사마리아' '빈집', '아리랑', '피에타' 등을 연출했다. 그의 작품은 매번 한국영화계에 뜨거운 감자처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한국보다 해외에서 더 많은 사랑을 받은 감독이기도 했다. 2004년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사마리아'로 감독상인 은곰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에 '빈집'으로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감독상인 은사자상을 수상했다. 2011년 칸국제영화제에서는 '아리랑'으로 주목할만한시선상을, 2012년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는 '피에타'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세계 3대 영화제에서 모두 상을 받은 유일한 한국 감독이기도 하다.
하지만 영광의 시간은 길지 않았다. 김기덕 감독은 2017년 여배우 A씨로부터 폭행, 강요 등 혐의로 고소당했다. 이후 재판부는 김기덕 감독의 폭행 건에 대해서는 벌금 500만원에 약식명령을 내렸다. 강제추행치상에서는 검찰이 증거불충분 등을 이유로 불기소 처분했다. 이후 김기덕 감독은 '인간, 공간, 시간, 그리고 인간'이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초청돼 활동을 재개하려 했으나 미투 운동에 지목되면서 소송전을 벌여왔다.
이후 그는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등에서 활동을 해왔다. 지난해 모스크바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장을 역임했고, 올해는 카자흐스탄에서 러시아어로 신작 '디졸브'를 현지 배우들과 함께 했다.
<스타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업보다.....karma is a bi*ch... ㅉ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