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수감사절이 지나면 바로 성탄절까지 이어지는 연말연시 시즌으로 접어든다.
요즘 북가주 한인 신문과 방송은 각종 단체와 동창회, 친목회 등의 송년모임을 알리는 광고가 한창이다. 바삐 살다보니 1년이 다 지나도록 만나지 못한 사람들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으니 망년회나 송년모임은 의미 있는 행사임에 틀림없다.
단체들의 송년모임과 임원들의 이·취임식을 보면서 과거의 씁쓸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수년 전, 몇 개 단체의 송년모임이 장소만 다른 채 12월의 한 토요일, 같은 시간에 몰리게 되었다. 당시 단체들은 내빈 축사의 단골메뉴(?)인 총영사를 서로 자신들의 송년모임으로 초대하려고 경쟁을 벌였다.
총영사는 몸이 하나인지라 한 모임에 참석하고 다른 모임에는 부총영사를, 그리고 또 제3의 모임에는 민원담당 영사를 보내게 되었다.
그 후 어느 단체가 더 파워가 있는지는 총영사를 모시는 것에서 판가름난다는 웃지못할 말들이 나돌았다. 올해부터는 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 기자의 생각이다. 미국에 이민 왔으면 미국의 정치인, 특히 해당 단체가 속한 지역의 시의원이나 주의원들을 초대하는 것이 한인사회의 발전을 위해 훨씬 나은 길이다.
선출직 공무원들은 단 한명이라도 더 많은 유권자들을 만나고 싶어 한다. 이들 정치인들이 한인단체들의 멋진 송년모임에 초대돼 축사를 하고 나면 한인 커뮤니티에 대한 인식이 훨씬 더 높아질 것이다.
또 총영사를 비롯한 영사들도 사생활이 있다. 언제까지 이들이 주말과 가정을 희생해가면서 한인사회의 각종 모임을 쫓아다녀야 하겠는가?
올 연말모임부터라도 주류사회의 정치인들을 적극적으로 만나는 송년모임이 되길 바란다. 환경규제나 세금의 결정도, 한인사회를 위한 복지 프로그램 지원결정도 모두 미국 정치계에서 결정되는 것이지 본국 정부가 직접 해줄 수 있는 것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