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년 말이 되어서일까? 새벽에 잠이 깼다. 거실이 어두워서 베란다로 나갔다. 어둠이 사라지기 직전의 고요가 도시를 감싸고 있다. 짙은 안개가 시야를 가리며 마야의 베일처럼 거리를 지우고 있다. 우중충하고 무겁게 내려앉은 찬 공기가 계속되는 요즈음은 딱히 감기 철이다.
우중충한 날씨가 저녁까지 계속됐다. 친구로부터 카톡이 왔다. 조용히 속삭이며 스며드는 음악 소리! 마음속을 깊게 흔들고 감동을 주는 바흐의 시칠리아노를 임윤찬이 치고 있었다. 두 번을 들었다. 어린 청년 임윤찬의 올곧은 의지가 느껴지는 그의 음악 세계, 다른 것은 절대로 끼어들 수 없는 그만의 순수한 예술세계를 음미하며 들었다.
지난 젊은 시절 한 시인의 삶과 그의 ‘시’에 꽂혀서 그에게 열중했던 시절이 생각났다. 인류 역사를 거슬러보면 자신의 전 인생을 송두리째 바치면서 의심없이 예술에 몰두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19세기 상징주의 시의 대가인 프랑스의 스테판 말라르메도 그 중의 한 사람이었다. 세련되고 명석한 말라르메는 당시 거장의 시인들, 예술인들과 파리의 롬 가에 있는 그의 아파트에서 유명한 ‘화요회’란 모임을 이끌었다. 밤늦은 시간까지 ‘절대미’를 추구하면서 같이 숨을 쉬고 영혼의 대화를 나누며 전생을 보냈다. 당시 마네는 ‘화요회’ 모임에 고갱과 모네와 더불어 자주 참석했다고 한다. 마네가 그린 <스테판 말라르메의 초상>은 창백한 정신의 세계를 끈질기게 추구하는 둘만의 따스한 우정을 느끼게 해준다.
내가 말라르메에 대해 알게 된 것은 앙드레 지드의 글에 몰두하면서부터다. 지드의 글에서 ‘화요회’에 참석한다는 문장을 읽었었다. 당시 최고의 지성인인 그가 ‘화요회’의 무엇이 그를 끌었을 까고 의문이 들었다.
(창공) 영원한 창공의 초연한 빈정거림은 / 꽃들처럼 무심하게 아름다워서 / 고통의 메마른 사막을 헤매며 제 재능을 / 저주하는 무기력한 시인을 짖누르네.
그의 시 첫 연처럼 그는 짓누르는 시인의 길을 순수시를 위해 인생을 철두철미 디자인해서 살았다. 그의 끈질긴 인내의 삶과 난해한 시의 세계에 끌렸었다.
드디어 지난여름 할리우드 볼 공연장에서 임윤찬의 모습을 만날 수 있었다. 베토벤의 황제를 연주하려는데 골몰한 그는 할리우드 볼 안의 수많은 관람객은 안중에도 없이 곧장 피아노를 향해 걸어 나왔다. 그리곤 연주가 다 끝난 다음에야 표정이 풀린 그의 미소 띤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열광된 팬들의 기립박수와 휘파람과 환호가 한동안 계속되었다.
임윤찬도 역사적 인물들처럼 인생의 모든 시간을 오로지 음악에, 예술에 다 쏟아부으며 한길만 걸어가며 그의 일생이 말라르메보다는 더 다양하고 즐겁고 행복하기를 기대해 본다.
<
김인자 수필가>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