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추가 확진자 발생에도 사흘만에 큰 폭 상승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오미크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미국 뉴욕증시가 대폭 반등했다.
2일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17.75포인트(1.82%) 오른 34,639.7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64.06포인트(1.42%) 오른 4,577.1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27.27포인트(0.83%) 오른 15,381.32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지난달 말 오미크론 변이 출현 이후 변동성이 높아진 뉴욕증시는 이날 미국에서 두 번째 확진자가 나왔음에도 3거래일 만에 강한 상승세를 보여줬다.
오미크론 변이 보고 후 첫 거래일인 지난달 26일 900포인트 이상 급락한 다우 지수는 같은 달 29일 200포인트 이상 반등했다가 다시 이틀간 큰 폭으로 하락한 바 있다.
이날 오전 미네소타주에서 공개한 두 번째 확진자는 최근 뉴욕시 애니메이션 행사에 참석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전파 우려를 키웠으나, 뉴욕증시의 매수세는 전혀 꺾이지 않았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날 오미크론 변이 대응을 위해 강화된 방역 지침을 발표하면서도 "봉쇄 조치는 없다"며 검사와 백신 확대에 초점을 맞춘 것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하락폭이 컸던 항공, 호텔, 에너지 등 경기순환주들이 반등장을 주도했다.
델타항공이 9.3%, 보잉이 7.5%, MGM리조트가 7.7%, 힐튼이 7.4%, 엑소모빌이 2.5% 각각 상승했다.
그러나 오미크론발 하락장에서 나홀로 상승하던 애플은 아이폰 수요가 약해지고 있다는 보도에 0.6% 떨어졌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 이슈에 일희일비하는 장세를 고려할 때 이날 반등에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
루톨드그룹의 수석투자전략가인 짐 폴슨은 CNBC방송에 "투자자들이 이날 랠리에 큰 의미를 부여해도 되는지 확신할 수 없다"며 "투자자들이 '최악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염려와 '회복장에서 소외당할 것'이라는 불안감 사이에서 걱정하면서 공포와 탐욕이 (투자자들의) 행동을 지배하고 있다"고 말했다.
'매파'(통화긴축 선호)로 변신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속도를 높이는 등 인플레이션 억제에 주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장기적으로 증시에 악재가 될 수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앞으로 주식이 계속해서 내릴 가능성은 전혀없다~~~~기관이고 개인이고 돈보따리 싸들고 조금이라도 내리면 바로 치고 들어 오는것들이 워낙 많이 줄서서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지~~~~시중에 돈이 워낙 많이 풀려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