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우 22%·S&P 500 29%·나스닥 35% 각각 상승
미국 뉴욕증시가 31일 상승세로 '화려한 한해'의 피날레를 장식했다.
뉴욕증시는 전년 말부터 이어져 오던 경기침체, 이른바 'R(Recession)의 공포' 속에 2019년을 출발했지만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를 비롯한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최고치를 거듭 갈아치우고 최소 2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한 해를 마무리했다.
다우지수는 이날 76.30포인트(0.27%) 오른 28,538.44로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올해 22%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2017년 이후 연간 기준 최고 상승률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9.49포인트(0.29%) 상승한 3,230.78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6.61포인트(0.30%) 오른 8,972.60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올해 28.7% 올랐다. 연간 29.6%의 상승률을 기록했던 2013년 이후 6년 만의 최고 기록이다. S&P 500 지수는 올해 35차례의 최고치를 경신했다.
나스닥 지수는 올해 약 35%나 올라 3대 지수 가운데 최대 상승률을 나타냈다. 나스닥 지수 역시 약 6년 만의 최대 상승률이다.
나스닥 지수는 지난 26일 사상 처음으로 9,000선을 돌파한 바 있다. 최근 10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 행진을 이어가기도 했다. '닷컴버블' 당시인 1998년 이후 최장 기록이다.
특히 대장주 가운데 하나인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올해 각각 85%와 55%가량 상승하면서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마켓워치는 올해 S&P 500 상승분 가운데 애플이 8.19%, 마이크로소프트가 6.59%를 기여했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페이스북(2.84%)과 아마존(2.43%), JP모건체이스(2.08%) 순으로 기여했다.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의 설립자인 네드 데이비스는 성장 및 실적 둔화, 미중 무역전쟁,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 논란, 고평가된 주가 등을 거론하면서 "우리는 '근심의 장벽'을 넘었다"고 평가했다.
올해 뉴욕증시는 한동안 시장을 짓눌렀던 'R의 공포'가 크게 완화되고 세계 경제에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했던 미중 무역전쟁과 관련, 미중이 1단계 무역합의에 합의하면서 훈풍을 탔다.
특히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도 투자심리 개선에 일조했다.
뉴욕증시는 내년에도 상승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러나 1단계 합의 이후 훨씬 험난할 것으로 보이는 미중 무역협상,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재선에 나서는 미 대선, 영국의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등의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상승 폭은 제한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