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최고의 베스트셀러는 ‘성경’이다. 고등학생에게도 아주 좋은 필독서다. 특히 구약은 아주 아름다운 문체로 번역됐다. 특별히 나는 킹제임스 판을 좋아한다.
나는 종교적이진 않지만 갈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성경을 공부하지 않는 것은 큰 비극이라고 생각한다.
문학 작품으로서 성경은 모든 것을 가지고 있다. 시, 철학, 스토리텔링, 신화, 픽션, 수수께끼, 우화, 풍자(allegories)를 망라한다.
성경의 문장은 도발적이기도 하며 모호하기도 하다. 하나의 단편적인 해석만으로는 충분히 의미를 알 수 없다. 성경은 우리가 쉽게 이해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나는 비밀스런 의미를 숨기고 있고 쉽게 풀리지 않는 성경이야 말로 읽으면 읽을수록 더 많은 가치가 있다고 실감하고 있다.
학생들은 성경을 통해 비판력, 또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읽어내는 인내심을 배우게 될 것이다. ‘에듀케이티드(Educated)’의 저자 타라 웨스트오버(Tara Westover)
▲굿 우먼(GOOD WOMAN,)
고등학교 때 ‘솔로몬의 노래’ ‘햄릿’까지 많은 소설과 희곡들을 읽었다. 하지만 커리큘럼에 시 부문은 눈에 띠게 부족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그래서 뜬금없이 못 보던 시가 강의계획에 나오기라도 하면 혼란스러웠다.
그래서 나는 대학 가기 전 여름 루실 클리프톤의 ‘굿우먼’을 읽었다. 이 책은 처음 읽은 시집으로 여태껏 서투르게 배우거나 아예 함께 하는 것을 꺼렸던 사랑의 궁금증을 풀어주었다.
만약 내가 나의 고등학교 커리큐럼을 직접 짤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은 시집을 포함하고 싶다. 루실 클리프톤의 굿 우먼과 솔마즈 샤리프(Solmaz Sharif)의 ‘룩‘(Look) 몰리 컬리 브라운(Molly McCully Brown)의 ‘The Virginia State Colony for Epileptics and Feepededededded’ 등이다. 홈고잉(Homegoing)의 저자 Yaa Gyasi.
▲조지 오웰 에세이 컬렉션(A Collection of Essays)
작가 조지 오웰하면 ‘동물농장’이나 ‘1984년’을 먼저 떠올리겠지만 이런 책들 대신 나는 조지 오웰의 에세이 모음집을 추천하고 싶다.
특히 이 책 안에 담긴 ‘그 즐거웠던 시절’(Such, Such Were the Joys) ‘코끼리를 쏘다’(Shooting an Elephant) ‘나는 왜 쓰는가’(Why I Write) ‘정치와 영어’(Politics and the English Language)등은 백미 중 백미다.
‘피날레: 레이건 시대의 소설’(Finale: A Novel of the Reagan Years)의 저자 토마스 말론(Thomas Mallon)
▲길가메시의 서사시(The Epic of Gilgamesh)
길가메시의 서사시를 고등학생들에게 보내고 싶다.
이 책은 ‘문학’이 ‘문학’으로 불리기 전, 서양문명의 가장 오래된 현존 작품 중 하나다. 특히 이 책은 종종 넘어지거나 좌절하는 힘든 삶에 큰 힘이 되어준다.
길가메시는 아주 오래 전에 쓰여 졌지만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모든 문제, 나쁜 지도자와 그가 어떻게 깨우치게 되는지, 환경 파괴, 계급, 인종, 욕망과 사랑, 상실과 죽음을 다룬다.
노래와 침묵의 경계에 있는 길가메시 속 언어는 어쩌면 주문과 같다. 길가메시 서사시의 는 많은 번역본이 나와 있는데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데이빗 페리 버전이다. 물론 스티븐 미첼과 허버트 메이슨 버전도 훌륭하다. “How the Garcia Girls Lost Their Accents”의 작가 줄리아 알바레즈(Julia Alvarez)
▲권위에 대한 복종(Obedience to Authority)
2년 전에는 추천 도서로 다른 대답을 했었는데 이번에는 스탠리 밀그램의 ‘권위에 대한 복종’을 읽어보라고 말하고 싶다.
이 책은 많은 인간이 강자 앞에서 어떻게 ‘무조건적 복종’을 하려는 심리가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 있다. ‘권위에 대한 복종’은 인간이 책임을 얼마나 쉽게 포기하는지, 또 인간이 명령대로 조용히 행동할 때 마주하게 되는 공포를 드러낸다.
‘정오의 악마-우울증의 모든 것’(The Noonday Demon: An Atlas of Depression)의 저자 앤드류 솔로몬(Andrew Solomon)
▲옴니 아메리칸(THE OMNI-AMERICANS)
진정한 르네상스의 작가라 부를 만한 알버트 머레이가 쓴 옴니 아메리칸을 읽었으면 한다. 이 책은 인종·성·종교·계급 등 여러 기준으로 분화된 집단이 각 집단의 권리를 주장하는 데 주력하는 정체성 정치(identity politics)와 다문화적 분열화(multicultural Balkanization) 등 현재의 미국에 대해 나름의 비전을 제시한다.
‘멋을 잃어버리는 것: 사랑, 문학 그리고 군중으로부터의 흑인 남자의 탈출’(Losing My Cool: Love, Literature and a Black Man’s Escape from the Crowd)의 작가 토마스 채터턴 윌리엄스(Thomas Chatterton Williams)
▲선 이즈 올소 어 스타(The Sun Is Also a Star)
니콜라 윤의 이 책을 고교 독서 커리큘럼에 추가했으면 좋겠다. 이 책은 이민과 고독, 그리고 가족에 대한 내용인데 달콤하고 사랑스런 스토리로 잘 포장되어 있다. 내 자신이 이민자로서 많은 어려움을 극복한 캐릭터에 대해 읽는다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
언 엠버 인 더 애쉬스 (An Ember In The Ashes)의 작가 사바 타히르(Sabaa Tahir)
<이해광 기자>
한국 재외동포청 산하 재외동포협력센터(센터장 김영근)는 전 세계 재외동포 가운데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2025년도 초청 장학생 80명을 최종 …
LA 한국교육원(원장 강전훈)은 뿌리·성인평생교육 2024-2025 올해의 우수강사 9명을 선정해 지난달 26일(목) 시상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미주한국어교육장학재단(KLESF·이사장 나영자)은 지난달 28일 LA 한인타운‘용수산’에서 이사회를 열고 2025년 한국어 장학생 및 우수교사…
지난 5월29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이화여고 70회 졸업 55주년 재상봉의 날’ 행사에 참석한 LA 출신 동창생들이 기…
이찬수 목사 초청강사 충현선교교회 부흥회충현선교교회 설립 40주년을 기념하는 부흥회가 오는 18일부터 20일까지 열린다.‘그 힘의 능력으로 강…
2026년 월드컵 뉴욕·뉴저지 한인위원회가 29일 뉴저지 레오니아 소재 오버펙공원에서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전창덕 위원장과 김영길 후원회장…
지난 수개월간 진행된 대규모 연방공무원 감원 여파로 워싱턴 일원의 부동산 시장에 매물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북버지니아 지역은 여전히 강세를 …
제75주년 6.25전쟁 기념일을 맞아 지난 25일 샌프란시스코 프리시디오 공원내 한국전 참전기념비 앞에서 한국전 발발 75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오 공부겸 찾아보고싶었는데 정보 얻어가네요!!
한글 번역본도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