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 적설량 101.6㎝ 기록
▶ 뉴욕 주 여행금지 해제…철도·지하철·공항 정상화 작업 시작
워싱턴 D.C.와 뉴욕 등 미국 동부지역을 마비시킨 폭설이 최소 19명의 사망자를 내고 잠잠해졌다.
경제적 피해는 최고 7억 달러(약 8천500억 원)로 추산됐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24일 오전 7시를 기해 전날 발령했던 여행금지명령을 해제했다.
긴급차량을 제외한 자동차의 운행 금지가 풀리자 뉴욕시내에 자동차들이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전날 쿠오모 주지사는 강풍까지 동반한 폭설 때문에 뉴욕시내 도로와 롱아일랜드의 익스프레스웨이, 노던스테이트파크웨이, 뉴저지 주와 맨해튼을 연결하는 터널 및 다리의 운행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는 운전자를 체포하도록 강경 조치했다.
눈이 멈추자 뉴욕 주는 기차와 지하철 시스템 운행 재개를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
메트로-노스, 롱아일랜드 레일로드, 뉴욕시 지하철 시스템의 지상 구간 운행을 위해 중장비와 직원들이 투입돼 작업 중이다.
쿠오모 주지사는 "버스와 지하철, 그리고 지역 철도 서비스를 일요일까지는 복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 항공사들은 뉴욕지역 공항에서 제한된 운항이라도 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이번 폭설로 취소된 항공편은 7천여 편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폭설로 최소 19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미국 언론들은 보도했다.
전날까지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 등 동남부 지역 6개 주에서 교통사고로 13명이 숨졌고, 버지니아 주에서는 저체온증 사망자 2명이 보고됐다.
뉴욕 주에서는 3명이, 메릴랜드 주에서는 1명이 제설작업 도중 발생한 심장마비나 안전사고로 사망했다.
폭설로 구급차 출동 시간이 늦어진 점도 사망자 수가 늘어난 요인으로 꼽혔다.
기상정보제공업체 아큐웨더의 집계에서 뉴욕 시 센트럴파크의 적설량은 68.1㎝로 잠정 발표됐다.
이는 1869년 이후 두 번째 많은 적설량이자 사상 최고였던 2006년 2월보다 불과 0.25㎝ 적었다.
워싱턴D.C. 인근에서는 덜레스 국제공항의 적설량이 74.4㎝였다. 이는 2010년 2월 기록된 82.3㎝ 이후 집계 이래 2번째로 많았다.
기상전문매체 웨더채널은 이번 폭설 때 가장 눈이 많이 온 곳을 웨스트버지니아 주 글랜개리로 지목했다. 이 지역의 적설량은 101.6㎝였다.
AP는 웨스트버지니아 주의 하퍼스 페리와 멀지 않은 지역에도 101.6㎝의 적설량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UPI는 볼티모어의 적설량이 74.2㎝를 기록해 1892년 집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번 폭설로 인한 직접적인 재산피해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교통마비 등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3억 5천만∼7억 달러라는 추정이 제기됐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의 경영정보 제공업체 프래내널리틱스는 소매업체나 자영업자들의 휴업과 그에 따른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임금지급 중단, 폭설 피해 지역에서의 제설작업 비용 등을 고려해 이 같은 액수가 산출됐다고 발표했다.
이전에 미국에서는 강추위가 국가 전체 경제에 영향을 준 사례도 있었다. 2014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강추위와 그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때문에 2.1% 줄었고, 같은 해 전체의 경제성장률에도 감소 효과를 낳았다.
뉴저지 주와 메릴랜드 주의 일부 해안 지역에서는 폭설이 아닌 홍수 피해를 봤다.
전날 홍수피해 지역의 낮기온이 영하가 아닌 10∼15℃에 이른데다가 강풍으로 바닷물이 해안 쪽으로 밀려왔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이는 눈폭풍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효과를 낳았고 폭설 지역의 강설량 증가로도 이어졌다.
폭설 때문에 주말에 예정됐던 각종 행사가 취소되기도 했다.
특히 여행금지 명령이 내려진 탓에 뉴욕 맨해튼에서 예정됐던 행사들은 대부분 차질을 빚었다.
브로드웨이 공연장 협회인 '브로드웨이 리그(Broadway League)'의 샬럿 세인트 마틴 회장은 23일 브로드웨이 뮤지컬 공연을 취소했으며, 같은 날 센트럴 파크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겨울스포츠 행사 '윈터 잼'도 연기됐다.
또 24일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진행되기로 했던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공연도 일찌감치 취소 결정이 내려졌다.
폭설이 시작된 22일 저녁 워싱턴 D.C에서 예정됐던 워싱턴 캐피털스-애너하임 덕스의 아이스하키 경기도 연기됐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