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패션위크 통해 본 내년 패션 트렌드
▶ 오간자나 시폰 등 얇은 천으로 만들어 속옷이 훤히 드러나 보이는‘시스루’ 의상, 옷에 절개를 넣어 안감이나 피부가 보이게 한‘컷 아웃’ 장식이 있는 옷. 목에서 어깨까지 노출한‘오프 숄더’ 상의까지. 내년 봄과 여름에‘옷 좀 입는다’는 소리를 듣고 싶다면 올해 구입한 이들 유행 의상들을 잘 보관해 두는 게 좋겠다. 찬바람에 옷깃을 꼭꼭 여미게 되는 요즘이지
■ 소재도 컨셉도 믹스&매치우선 뉴욕, 파리 등 세계 주요 패션위크의 트렌드를 충실히 반영하면서도 실용성을 강조한 젊은 디자이너들의 의상이 눈에 띄었다. 행사 셋째 날인 20일 무대에 오른 박승건 디자이너의 ‘푸시버튼’은 해골 프린트, 물방울 무늬, 체크 등 다양한 패턴을 적절히 사용한 위트가 느껴지는 의상을 선보였다.
남성적인 느낌의 옷에 여성스러운 장식을 덧대거나, 실크와 니트, 메시 소재를 적절히 섞는 등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여러 컨셉을 자유로이 교배한 디자이너의 자신감이 묻어나는 쇼였다.넷째 날인 21일 패션위크의 화제는 ‘스티브 J & 요니 P’의 부부 디자이너 정혁서, 배승연씨였다.
‘블랙 앤드 화이트’가 바탕이 됐던 이번 패션위크에서 주황, 초록, 보라 등 선명한 색상들로 채운 무대는 단연 눈에 띄었다. 메인 모티프였던 유니콘 프린트와 형광색 톤으로 재해석된 카무플라주(군대 위장복에 사용되는 무늬) 패턴이 눈길을 끌었다.
내년 봄·여름 시즌 불어닥칠 스포츠 패션의 열기를 반영한 듯 쇼를 마친 후 디자이너들이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런웨이에 등장하는 이색 퍼포먼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 기대 높이는 남성복의 진화전반적으로 간결한 실루엣에 소재와 색상으로 디테일을 강조한 남성복은 눈에 띄는 특정 디자이너를 꼽을 수 없을 정도로 전반적으로 수준이 높았다. 북미, 유럽에 비해 유독 높게 나타나는 한국 남성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관심 덕분이다. 패션위크 첫 무대의 주인공이었던 이주영 디자이너의 ‘레쥬렉션’(RESURRECTION)은 주로 남성의 신체 분할에 중점을 둬 몸이 돋보이게 하는 의상이었다.
올해 남성복은 여성복과 거의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섬세한 부분이 많았다. 레쥬렉션의 경우 여성복에 자주 등장하는 오간자, 실크, 메시 소재 등을 활용한 시 스루 의상을 과감히 무대에 올렸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계속되는 검정, 회색 등 무채색의 유행이 반영됐지만 주황, 녹색 등을 포인트 색상으로 더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