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대통령 연내가입 확신
베트남의 숙원인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이 내달초 공식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무역기구(WTO) 관계자들은 26일 베트남을 150번째 회원국으로 받아들이기로 실무 회동에서 결정했다면서 내달 7일 일반이사회가 베트남의 회원국 가입을 공식 승인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베트남은 이사회 승인안에 공식 서명한 날로부터 30일 후 WTO 정식 회원국이 된다. 베트남은 국제 자유무역 체제에 합류하기 위해 지난 12년간 노력해왔으며 지난 5월 핵심 관문인 미국과의 협상을 순조롭게 마무리지었다.
베트남 가입 여부를 실무적으로 점검해온 위원회 책임자인 에이릭 글렌네 노르웨이 대사는 베트남 정부가 WTO 가입과 관련한 회원국들의 요구를 신속하게 수용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인구 8천400만명의 베트남은 올해 경제가 7.8% 확대돼 아시아에서 중국에 이은 2위 고속 성장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지난달 전망했다.
미 관계자들은 미국-베트남 교역이 지난 5년간 400% 증가해 지난해 80억달러에 달했음을 상기시키면서 베트남의 WTO 가입이 시기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단체인 미-베트남무역위원회 관계자는 베트남의 WTO 가입 효과를 미 재계가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베트남에 조속히 항구적정상무역관계(PNTR)도 부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의회가 신속히 PNTR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베트남의 WTO 가입 효과를 미측이 놓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측통들은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내달 18일 하노이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에 참석함을 상기시키면서 그 때에 맞춰 의회가 PNTR을 승인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미 기업 가운데 인텔과 포드 등이 베트남에 특히 적극적으로 투자해왔다. 포드 관계자는 베트남이 중국에 비해 인건비가 30-50% 싸다고 평가했다.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지난 2002년부터 베트남도 평가 대상에 포함시켜 현재 국가신용등급 격인 장기외화등급을 브라질, 코스타리카와 같은 수준으로 부여하고 있다. 이는 인도네시아나 터키보다 높은 것이다.
한편 빅토르 유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헬싱키에서 유럽연합(EU)-우크라이나 정상회담이 열리기 전날인 26일 기자들과 만나 우크라이나의 WTO 가입이 연내 실현될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해에도 WTO 가입을 모색했으나 특히 법체계 개혁이 부진하다는 이유로 거부된 바 있다.
러시아도 WTO 가입에 박차를 가해왔으나 앞서 대미 협상이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보다 빨리 WTO 회원국이 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와 크렘린이 신경을 써왔다.
(제네바.헬싱키AP.블룸버그=연합뉴스) jksun@yna.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