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럴 때는 어떻게 하지 - 높은 위치의 앞쪽 핀 그린 공략법
①깃대의 뒤쪽에 초점을 맞춘다
깃대가 앞쪽에 꽂혀있는 높은 위치의 그린을 향해 50야드의 짧은 피치 샷을 구사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린에 못미치면 완전히 죽음이다. 하지만 걱정하지 말자. 이런 상황에서도 깃대 가까이 붙일 수 있다.
볼이 홀을 지나쳐 날아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비거리를 확보하는데 초점을 맞춤으로써 샷의 방정식에서 거리가 부족하게 나오는 경우를 제거한다.
이번 상황의 경우 그린의 세로 길이는 18야드이지만 그린의 앞쪽 경계(언덕 부위의 맨 위쪽)와 홀 사이의 거리는 겨우 8야드에 불과하다. 따라서 깃대의 뒤쪽을 살펴본 뒤 뒤쪽 프린지를 타깃으로 삼도록 한다.
이렇게 해 심리적으로 몇 야드의 추가 공간을 확보하면 그린 공략의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샷이 길어서 잘못되는 홀은 매우 드물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②몸을 똑바로 세워준다
어드레스 시 몸을 충분히 똑바로 세워서 양팔을 아래쪽으로 똑바로 늘어뜨렸을 때(가운데) 리딩 에지가 볼의 최하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해준다. 이렇게 해주면 샷을 하는 동안 손쉽게 자세의 높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볼을 향해 몸을 구부리고 지면쪽으로 머리를 숙이게 되면 두꺼운 샷이나 얇은 샷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양팔을 이용하여 클럽을 안쪽으로 당기게 되기 때문).
볼은 스탠스의 중심 바로 앞쪽에 놓고 플레이하며 양발의 폭은 비교적 좁게 가져간다. 그리고 몸무게는 왼쪽으로 더 많이 얹어준다.
③로프트를 유지한다
그린이 높은 위치에 놓여있고 뒷쪽 프린지까지 공중으로 날아가야 하며, 볼의 뒤쪽 잔디로 인해 볼을 어떻게 맞추게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므로 로프트 각도가 가장 큰 웨지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력을 좀 더 높이려면 스윙을 최대로 가져가지 말고 약간 줄여 4분의 3 크기로 구사해야 한다.
그리고 임팩트를 통과할 때 팔뚝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고, 왼손의 손등을 가능한 한 많이 하늘쪽으로 유지하여 페이스의 로프트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면 클럽헤드가 볼의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나가면서 그 밑의 풀을 잘라내게 된다(오른쪽).
■몇 가지 보험을 든다
어드레스 시 페이스를 약간 오픈시켜 준다(오른쪽). 하지만 표준의 그린사이드 벙커 샷을 할 때처럼 많이 열어주어선 안 된다.
이렇게 약간 오픈시켜주면 바운스(클럽 밑면의 뒤쪽 선단)가 충분히 노출되어 리딩 에지가 땅속으로 들어가 박히거나 러프에 휘말리는 법이 없다.
본질적으로 이는 볼을 완벽하게 중심에 맞추지 못하는 경우에 대비해 보험을 들어두는 것과 같다.
(왼쪽)뒤쪽 프린지를 타깃으로 삼는다.
(가운데)양팔을 아래쪽으로 똑바로 늘어뜨린다.
(오른쪽)클럽헤드가 볼의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나간다.
<서울경제 골프매거진 특약>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