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요리사가 사이클 선수라면 내 요리는 세발자전거 수준이다. 누구나 쉽게 음식 만드는 법을 알려주고 싶었다. 요리를 안 하던 사람이 요리를 즐기면 외식 인구도 자연스럽게 늘 것이다”
계란 입힌 토스트와 꽁치통조림을 넣은 김치찌개. ‘쿡방 대세’ 백종원(48·사진)이 MBC ‘마이리틀텔레비전’과 tvN ‘집밥 백선생’에서 만들어 시청자의 관심을 산 음식들이다. 조리법은 특별하지 않다. “맛 없으면 설탕을 넣으라”는 게 비법이라면 비법.
미주 한인사회에도 ‘쿡방’ 이야기꽃을 피우게 하는 백종원이 지난 8일(한국시간)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집밥 백선생’ 세트장에서 기자들과의 만남을 가졌다. 백종원은 최근 황교익 음식 평론가가 “백종원은 사업가일 뿐 맛있는 음식이 아니다”라고 비판한 데 대해 “비평가로 할 말을 한 것”이라고 덤덤히 반응했다. 그는 “인터뷰 글을 다 읽어 봤는데 ‘음식의 맛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는 뜻으로 보여 기분이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백종원의 요리는 단맛과 짠맛만 있다’는 비판에 대해서도 “기본이 간 맞추기라고 생각하는데 많이 사람들이 공감하도록 평균보다 세게 간을 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백종원의 입담은 방송에서처럼 구수했다. 자신의 인기 비결에 대해 묻자 “묘하게 흐름을 잘 탔다”며 “실수한 게 인기다. 참 희한한 사회구조”라며 웃었다. ‘쿡방’이 방송가의 트렌드가 된 상황에서 ‘마이리틀텔레비전’에서 서툰 모습을 보인 게 시청자들의 공감을 샀다는 얘기다.
백종원을 매출 1,000억원대의 외식 사업가로 키운 건 아버지였다. "아버지가 정말 음식에 까탈스러워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됐다”는 것. “초등학교 때 아버님이 출장에서 오면 휴게소에서 햄버거를 10개씩 사오셨는데 그걸 냉동실에 넣었다가 데워먹었다. 그런데 차가우니 양상추를 새로 넣고 양파를 볶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요리를 하게 됐다.” 그는 또 “대학교때는 먹는 것에 병적으로 집착했다”고 털어놓았다.
요리에 대한 관심은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았지만, 그의 맷집은 외환위기(IMF) 때의 사업실패 경험에서 얻었다. "유복한 집에서 태어났지만 IMF때 사업이 크게 망했다. 사업실패 때 터득한 게 있다.
말하고 생각하는 게 똑같았으면 하는 것이다. 겸손한 척하려면 진짜 겸손해지면 된다. 있는 그대로 행동하는 건 창피한 게 아니다.”
백종원이 눈웃음치며 설탕을 담뿍 넣는 이유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