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바마케어 이유 내년 20∼40% 인상 추진
미국의 건강보험사들이 오바마케어(건강보험개혁법) 시행 후 시장환경 변화를 이유로 보험료의 집단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4일 미국 전역의 보험사들이 20∼40%의 보험료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다고 전했다. NYT에 따르면 전국 주요 보험사들의 연합체인 ‘블루 크로스·블루 쉴드(Blue Cross and Blue Shield)가 이 같은 움직임을 주도하고 있다.
이 단체가 추진하는 평균 보험료 인상폭은 일리노이주의 경우 23%, 노스캐롤라이나주 25%, 오클라호마주 31%, 테네시주 36%, 뉴멕시코주 51%, 미네소타주 54% 등으로 집계됐다. 오리건주에서는 보험당국의 승인이 이미 이뤄져 주 내에서 가장 가입자가 많은 ‘모다 헬스 플랜’의 보험료가 내년에 25%, 2위 업체인 ‘라이프와이즈’가 33%씩 각각 오른다.
오리건주 공공문제연구소의 보험 전문가인 제스 엘리스 오브라이언은 “내년 보험료 인상은 지난 수년간에 걸쳐 이뤄졌던 것보다 더 클 것”이라면서 “일부 소비자들은 자신이 보험료를 계속 낼 수 있을지, 또 돈을 낸 만큼 효과가 있을지 고민이 시작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보험사들이 내세우는 인상 이유는 ‘소비자들의 요구 충족’이다. 오바마케어로 지금까지 건강보험에서 배제돼온 새로운 가입자들이 들어온 후 고가의 특수약품 처방이 늘어나는 등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펜실베니아주의 한 보험사 관계자는 “건강한 사람들은 기존의 보험을 유지하려는 쪽”이라며 ‘거래소’(오바마케어 웹사이트)에서 보험상품을 구입하는 경우는 건강상태가 예상보다 좋지 않은 계층이라고 설명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주 테네시주를 방문했을 때, 소비자들이 보험사의 요구 인상폭을 면밀히 검토해줄 것을 주 당국에 요청해야 한다면서, 그렇게 된다면 인상폭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연방 당국자들도 보험사들이 제시한 인상폭이 줄어들 것을 확신하고 있다.
NYT는 오바마케어로 촉발된 충격파에 보험업계가 적응 중인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보험료 인상이 오바마케어의 ‘효과’를 둘러싼 논란을 더욱 키우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