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후 소득은 6위…미국·일본보다 높아
▶ 세금 부담은 34개국 가운데 최하위권
한국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구매력평가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14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을 낸 후 소득은 한국이 미국과 일본 등을 제치고 6위를 차지했는데 근로자의 세금 부담이 최하위권을 기록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6일 OECD가 펴낸 ‘2015 임금 과세(Taxing Wages)’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구매력평가 기준을 적용한 한국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하 1인가구 기준)은 4만6천664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13위인 일본(4만6천884달러)보다는 적었지만 15위인 스웨덴(4만6천379달러)보다는 많았다.
OECD의 평균은 4만770달러였다.
스위스가 6만6천506달러로 1위를 차지했고 룩셈부르크(6만158달러), 노르웨이(5만9천355달러), 네덜란드(5만9천280달러)가 2~4위에 올랐다.
독일(5만7천628달러), 벨기에(5만5천225달러), 호주(5만3천170달러), 덴마크(5만2천161달러), 영국(5만865달러), 오스트리아(5만373달러), 미국(5만75달러), 아이슬란드(5만1달러) 등도 5만달러를 넘어 한국을 앞섰다.
핀란드(4만6천165달러)와 프랑스(4만4천136달러), 이탈리아(4만426달러), 캐나다(3만9천438달러), 스페인(3만9천29달러) 등 20개국은 한국보다 평균 총임금이 적었다.
멕시코가 1만2천373달러로 34개 국가 가운데 최하위였다.
한국의 순위는 2000년(2만6천577달러)만 해도 18위였지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4만2천837달러)에는 12위까지 올랐다.
2013년(4만5천757달러)에는 순위가 다시 내려가 지난해와 같은 14위를 기록했다.
세금을 낸 후의 근로자 순소득으로 보면 한국의 순위는 10위권 안으로 올라간다.
지난해 한국 근로자의 세후 순수입은 4만421달러로 OECD 국가 가운데 6번째로 높았다.
스위스가 역시 5만4천944달러로 1위를 지켰고 노르웨이(4만2천243달러), 룩셈부르크(4만2천178달러), 호주(4만732달러), 네덜란드(4만678달러)만이 한국보다 많았다.
세전 임금에서 한국을 앞선 영국(3만8천806달러·7위), 미국(3만7천837달러·8위), 일본(3만6천691달러·9위)은 세금을 뺀 임금에서는 한국 다음이었다.
한국의 순위가 크게 오른 것은 세금 부담이 OECD 회원국들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총임금 대비 소득세 수준을 보면 지난해 한국은 5%로 칠레(0%) 다음으로 낮았다.
조세 격차(tax wedge)를 봐도 한국은 OECD 국가 가운데 하위권이었다.
조세 격차는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 중 소득세와 사회보장기여금(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이 차지하는 비율로 조세 격차가 클수록 근로자들의 세 부담도 커진다.
지난해 한국의 조세 격차는 21.5%로 30위로 나타났다. 한국보다 조세 격차가 작은 나라는 칠레(7.0%), 뉴질랜드(17.2%), 멕시코(19.5%), 이스라엘(20.5%) 등 4개국뿐이었다.
벨기에(55.6%)가 조세 격차가 가장 큰 나라였으며 오스트리아(49.4%), 독일(49.3%), 헝가리(49.0%), 이탈리아(48.2%) 등도 50%에 육박했다.
미국(31.5%)과 영국(31.1%), 일본(31.9%) 등의 조세 격차도 한국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