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링 시달린 9세 아들 구하려 접근금지 요청, 법원 받아들여
“그건 내가 아들을 위해 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이었다.”
9살 난 아들이 학교 폭력으로 공포에 떨자 아버지가 택한 최후의 선택은 법원에 가해 소년이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해 달라’는 접근금지명령을 법원에 요청하는 일 뿐이었다. 그리고 법원이 이를 받아들였다. 솔라노 카운티 역사상 9살 난 소년에게 법원 접근금지명령이 나온 건 이번이 최초이다.
ABC, CBS 방송 등 미 언론은 24일 페어필드 소재 롤링 힐스(Rolling Hills) 초등학교에서 벌어진 이 영화 같은 이야기를 일제히 보도했다. 언론은 스티븐 퓨드너씨가 욕설과 폭력에 시달리는 4학년 생 아들을 구하기 위해 학교에 한 달이 넘게 조치를 취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같은 방법을 선택하게 됐다고 전했다.
그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난 아들의 불링(Bullying•괴롭힘, 왕따)을 막기 위해 시도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했고, (법원에 요청하는)이번 시도도 망설임이 없었다. 결국 법원이 내 요청을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학교측은 가해자라고 추정되는 소년이 9세라는 점을 들어 이름과 정확한 주소를 공개하지 않고 있어 사실상 법원의 접근금지명령이 전달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법원명령이 나온 후 5일 내 서류가 가해자에게 전달되지 않으면 접근금지명령은 무효가 된다.
퓨드너씨는 모든 일이 원점으로 돌아가도 다시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내 자식뿐만 아니라 모든 어린이들 위해 이런 행동을 한 게 기쁘다”고 말했다. 페어필드-수선 교육구 교육감은 이에 대해 학생들의 안전이 제 1순위라고 강조하고 하지만 사생활 보호를 위해 이번 일에 대해선 언급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한편 청소년 전문가들은 작년 미국 정신의학회(APA) 연례회의에서 크리스티 킨드릭 박사가 13세∼17세 청소년 1만5,545명을 조사해 발표한 결과를 인용, 학교 폭력을 당한 학생의 자살 시도율은 9.5%로 피해 경험이 없는 학생의 자살 시도율의 두 배를 웃돌았다고 밝혔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한 사이버 왕따 피해 학생이 자살을 시도하는 비율은 14.7%로 피해 경험이 없는 학생이 자살을 시도하는 비율(4.6%)보다 세 배로 높았다.
학교 폭력과 사이버 왕따 둘 다 경험한 학생의 자살 시도율은 21.1%에 달해 자살 위험이 가장 컸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미 청소년 5명 중 1명은 학교 폭력을, 6명 중 1명은 사이버 왕따를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판겸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