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선(神仙)과 동자(童子)
▶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 <春南極老人> (봄의 남극노인) 간송미술관
신선 영감 가시는데 동자가 없을쏘냐
오늘도 착한 동자 천도(天桃)를 따왔구나
이거 오늘 먹으면 두 개째 먹는 거지
앞으로 또 한 천년 확실하게 살겠구나
하나만 더 따오면 두루마리 펼쳐주마
천도 두 개 따오면
보여 주신다면서요
신선 할아버지는
욕심쟁이 거짓말쟁이
오원 장승업은 영화 취화선(醉畵仙)의 주인공으로 잘 알려진 조선 후기의 직업 화가이다. 고아인 그는 역관(譯官)인 이응헌의 집에서 더부살이하면서 그가 청나라에서 수집해 온 많은 그림을 어깨너머로 보다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는데, 장승업의 천재적 재능을 알아본 이응헌은 그가 그림에 전념할 수 있도록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의 그림은 큰 인기를 끌었고 그는 술을 좋아해서 술을 따라 준 기녀에게 술값 대신 그림을 그려주기도 했다. 또한 필치가 호방하고 대담하면서도 그림의 소재가 백성들과 친근한 것이 많았다. 일자무식 천민 출신인데도 고종이 그의 재능을 아껴 후원하였고 궁중화가로 명했는데, 이 그림은 오원이 고종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며 그려 진상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그림 속의 신선은 인간의 수명을 관장한다는 남극노인(南極老人)인데 남극선옹(南極仙翁)이라고도 하며 중국 고대 신화 전설 속에 등장한다. 남극은 수성(壽星)이 보이는 남쪽 지평선 끝을 의미하며 이 별을 보면 오래 산다고 옛사람들은 믿었다. 천도(天桃)는 먹으면 천년을 산다는 전설이 있는데 방금 따온 천도를 신선에게 바치는 그림 속의 동자는 삼천갑자(三千甲子) 동방삭(東方朔)일 것이다. 살짝 구부러진 늙은 소나무에 걸터앉은 신선이 긴 손톱의 오른손에는 신선의 권능을 상징하는 여의(如意, 뜻대로 된다)라는 나무 조각을 들었고, 왼손에 든 두루마리는 인간의 생몰(生沒) 날짜가 적혀있다는 도교의 경전인 황정경(黃庭經)으로 보인다. 황정경은 몸속의 정기와 신(神)을 수련하여 장생과 신선의 경지에 이르는 수양법을 기록한 경전이라고 전해진다. 이 경전에는 <紫氣浮雲生我身(자기부운생아신)>이라는 구절이 있다는데 이는 이 경전을 읽음으로써 ‘자줏빛 기운(신선의 상서러운 기운)이 내 몸에서 일어나는구나’라는 뜻이다.
이 그림에서 동자를 바라보는 마음씨 좋아보이는 대머리의 신선 표정이 약간은 익살스럽고 장난끼있게 그려져 재미있다. 동자는 신선의 상징이며 불로장생의 약재라는 영지버섯을 허리에 차고 있다. 남색, 청색과 주황색을 사용하여 화려하고 섬세하게 그려진 도포와 그 아래로 보이는 보라색 신발은 이 그림의 신선이 보통 멋쟁이가 아님을 보여준다. 이 그림은 신선과 동자의 표정, 노송 하나만을 배경으로 한 군더더기 없는 단순함, 풍성하고 화려한 색감 등이 뛰어난 장승업의 명작이다.
joseonkyc@gmail.com
<
최규용(메릴랜드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