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사태 초기 도입 SLR 완화조치 예정대로 이달말 종료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로이터=사진제공]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초기에 도입한 은행 자본규제 완화를 종료하기로 해 시장금리 상승이 우려된다.
연준은 이달 말로 종료 예정인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SLR) 완화 조치를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19일 밝혔다.
SLR이란 총자산 2천500억달러 이상인 미 대형은행들이 자기자본을 자산의 3% 이상 유지하도록 의무화한 규제다. 전체 금융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최상위 은행들에는 이 비율이 5% 이상으로 올라간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도입된 이 제도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 대유행 직후 금융시장 불안을 더 부채질한 요인으로 지적됐다. 은행과 헤지펀드, 외국 중앙은행들이 이 비율을 맞추기 위해 미 국채와 그밖의 채권을 대량 매도하는 바람에 미 국채 금리가 치솟았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이에 연준은 지난해 4월1일부터 1년간 SLR 산정의 기준이 되는 은행 자산에서 미 국채와 지급준비금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규제를 완화했다. SLR 산정 계산식의 분모가 줄어든 만큼 대형은행들로서는 3% 또는 5%의 비율을 맞추기 쉬워진 것이다.
미 은행들은 이러한 규제 완화의 종료를 앞두고 로비스트들을 동원해 완화 조치의 연장을 호소해왔다.
완화 조치를 연장하지 않으면 은행들이 자기자본 비율을 높이기 위해 보유 중인 국채를 투매해 미 국채 금리 급등 현상이 빚어질 수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만약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대출(모기지)을 비롯한 시장 금리가 따라서 오르고, 은행이 대출을 꺼리는 현상이 빚어질 수 있다고 AP는 전망했다.
그러나 연준 측은 은행들의 자본 상태가 좋기 때문에 예외 조치가 종료되더라도 지급준비율을 맞추기 위해 미 국채를 투매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CNBC방송이 보도했다.
민주당 소속의 엘리자베스 워런(매사추세츠)·셰로드 브라운(오하이오) 상원의원도 최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등에게 보낸 서한에서 은행들의 연장 요구를 거부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