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분싸’, ‘TMI’, ‘인싸’.
한국에서는 하루가 다르게 이와 같은 갖가지 줄임말이나 생소한 조합어들이 ‘신조어’라는 이름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국에서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쓰는 첫 번째 신조어는 ‘갑분싸’(28%)로 나타났다. 분위기가 갑자기 싸한(식은) 상황을 뜻할 때 쓴다고 한다.
이는 한국을 홍보하는 대학생 연합동아리 ‘생존경쟁’이 최근 서울·경기지역 대학생 2,018명에게 올해 대학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신조어를 고르라면서 제시한 12개 후보에서 나온 것이다.
다음으로 많이 선택된 것은 ‘TMI’(24%)로 ‘Too Much Information’ 약자다. 너무 과한 정보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어 ‘인싸’(무리에 잘 어울려 지내는 사람·영어의 ‘Insider’ 의미), ‘JMT’(엄청 맛있는 것·비속어인 ‘존맛탱’을 영어로 표기할 때 앞글자를 딴 것) 등도 대학생들이 올해 가장 많이 사용된 신조어로 꼽았다.
이밖에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 ‘핵○○’ (매우, 너무나, 진짜 ○○하다), ‘혼코노’(혼자 코인노래방에 가서 놀다) 등도 대학생들이 즐겨 쓴 신조어에서 상위권에 자리했다.
이밖에도 널리 쓰이지만 기성세대들이 알아듣기 힘든 신조어들도 많다.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과 잡코리아가 실시한 신조어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 연령층의 경우 ‘JMT’는 물론, ‘핵○○’과 같은 뜻의 ‘개○○’나 ‘~할 것 같다’는 느낌을 나타내는 ‘~각’ 등도 많이 쓰고 있다. 예를 들어 ‘밤을 샐 것 같다’는 뜻의 ‘밤샐 각’, ‘혼날 상황이다’라는 뜻의 ‘혼날 각’ 등이다.
또 ‘헐’ 또는 ‘헐랭’은 깜짝 놀라거나 감격, 또는 신기함 등 다양한 상황에서 쓸 수 있는 만능 감탄사로 쓰이고 있다.
또 ‘애빼시’는 ‘애교 빼면 시체’의 줄임말이고, ‘격공’은 ‘격하게 공감한다’는 뜻이다. 혼자 밥을 먹는다는 ‘혼밥’이라는 말이 유행하면서 ‘혼자 밥 먹은 사람’이라는 뜻의 ‘혼바비언’ 또는 ‘혼밥러’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한편 미국에서도 약자를 쓰는 줄임말이 드물지 않다. 광고 등에서 볼 수 있는 ‘BOGO’는 ‘하나 사면 하나 공짜(Buy One Get One free)’의 줄임말이고, ‘소리를 내어 크게 웃는다(Laughing Out Loud)’의 약자인 ‘LOL’은 정말 웃긴다는 뜻으로 텍스트 메시지 등에서 쓰인 지 오래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4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그냥 애들은 그런거야. 다들 어렸을때 부모님말씀만 잘듯고 공부만 열심히했나?? 나이든사람들하는말이 더 철딱서니 없는것같아.... ㅉㅉㅉ
시대마다 언어의 유희같은 유행이 있었지요.전에는 은유적인 상징성 단어로 대체하는 말들이 유행이었다면 요즘은 모든말을 줄여서 약칭하는게 유행이되었지요
PS 피곤한사람 JPS 진짜 피곤한사람
공부들은 않하고 진짜 "꼴갑"들을 떠는 한국 학생들......이러니 대학을 나오면 뭘 하겠니??????? 구두나 딲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