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별 ‘의무 절수’ 차등할당…수도값 누진제도 추진
사상 최악의 가뭄을 겪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가 ‘물 낭비와의 전면전’을 선포했다.
제리 브라운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최근 산하 자치단체에 물 사용량을 25% 이상 감축하는 ‘강제 절수령’을 내린데 이어 주 수도위원회가 7일 자치단체별 절수 비율을 할당한 시행규칙을 발표했다.
캘리포니아 주에서 강제 절수령은 167년 만에 처음이다. 극심한 가뭄이 수년째 이어지면서 저수지들이 바닥을 드러내고, 겨울 강설량이 평년의 5%에도 미치지 못하자 주 정부가 ‘극약 처방’에 나선 것이다.
◇자치단체 물 사용량 따라 ‘의무 절수’ 차등 배분
주 정부가 마련한 시행규칙에 따르면 모든 골프장·묘지 등 대규모 잔디밭을 보유한 시설은 의무적으로 절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거리미화용 잔디에 물을 주는 행위가 전면 금지되며, 물 사용량이 많은 농장·목장 등은 주 관계기관에 매달 물 사용량을 정기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특히 이번 시행규칙의 ‘핵심’은 도시별 의무 절수량을 차등 배분한 것이다. 물 사용량이 많은 도시는 최대 35%까지, 물 사용량이 적은 지역은 10%까지로 각각 정했다.
이처럼 의무 절수량을 차등 적용한 것은 도시별 재정 상황에 따라 1인당 물 소비량이 최대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로스앤젤레스(LA)·오렌지 카운티의 도시별 1인당 물 소비량을 보면, 노스 터스틴 281갤런(1천64ℓ), 라캬나다 191갤런(723ℓ), 오렌지 카운티 동부 174갤런(659ℓ), 아카디아 173갤런(655ℓ) 등이다.
반면, 코비나 27갤런(102ℓ), 버논 35갤런(132ℓ), 샌타애나 38갤런(144ℓ), 이스트 LA 41갤런(155ℓ)에 불과했다.
◇의무 절수령에 따라 ‘수도값 누진제’도 적극 추진
주 정부는 가뭄 대처를 위한 물 절약을 위해 일반 가정에서도 물 소비량이 많을수록 요금을 차등하는 ‘수도값 누진제’도 적극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앞서 브라운 주지사는 의무 절수령을 발동하면서 각 가정의 물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수도요금 체계를 고쳐 물 소비량에 따라 요금을 차등하는 ‘수도값 누진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또 각 가정의 수도꼭지와 화장실 변기에 대한 규제기준을 상향 조정하는 한편, 마당의 잔디를 물 사용이 적은 품종으로 교체하는 사업도 병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호텔 객실에서 사용하는 수건과 이불·침대보를 매일 세탁할 것인지 투숙객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식당에서는 손님이 주문을 하기 전 먼저 식수를 내놓지 않도록 했다.
주 정부는 이밖에 비가 내리고 나서 48시간 동안 외부 물 사용을 금지하는 한편 상수원 구역의 관계기관은 월별 물 소비량과 물 사용 위반단속 실적을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했다.
◇캘리포니아, 대가뭄 도래 전망 속 급수난 ‘경보’
이 같은 혹독한 의무 절수 대책은 올해도 최악의 가뭄이 이어질 것이라는 비관적 전에 따른 것이다.
가뭄은 4년째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비는 내리지 않고 적설량은 줄었으며 호수의 수위는 계속 내려가는 등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캘리포니아 주의 올해 1월 강수량은 1850년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호수·저수지의 수위도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지난해 여름에는 샤스타 호수의 바닥이 드러나면서 1차 대전 시기의 고속도로의 모습이 드러나기도 했다.
문제는 캘리포니아 주의 가뭄이 몇 년 안에 끝나지 않고 수십 년간 이어지는 ‘대가뭄’이 도래할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다르 우주연구소의 벤저민 쿡 연구팀은 최근 미국 남서부와 중부 대평원 지역에 오는 2050년 이후 최소 35년 이상 지속되는 대가뭄이 찾아올 것이라는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1930년부터 7년간 중부 평원지대를 휩쓴 ‘황진(黃塵) 현상’으로 콜로라도 산맥 주변 일대의 식용수가 고갈된 사례를 거론하면서 향후 대가뭄은 이보다 훨씬 심각한 급수난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