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리면서 강세로 마감했다.
구글의 인공지능(AI) 서비스 제미나이 3.0이 AI 산업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면서 기술주 전반에 열기가 퍼졌다.
2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2.86포인트(0.44%) 오른 46,448.2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102.13포인트(1.55%) 튄 6,705.12, 나스닥종합지수는 598.92포인트(2.69%) 급등한 22,872.01에 장을 마쳤다.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두고 증시가 불을 뿜었다. 휴가철 직전엔 통상 거래가 한산하지만 구글이 불 지핀 낙관론을 투자자들은 외면하기 어려웠다.
제미나이 3.0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면서 기술 업종 전반에 열기가 퍼졌다. 특히 AI 산업 경쟁자들이 제미나이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면서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주가에 힘이 실렸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제미나이 3.0을 접한 뒤 "이제 우리가 쫓아가는 입장"이라며 당분간 분위기가 좋지 않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는 자신의 엑스 계정에 이례적으로 "축하한다"며 제미나이의 성과를 인정하기도 했다.
제미나이 3.0의 성과는 AI 산업 경로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반응이 더 뜨겁다.
그간 오픈AI를 중심으로 한 AI 툴은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에 과도하게 의존할 수밖에 없어 GPU의 구매 및 유지, 감가상각 비용이 막대하다는 점이 우려 요소였다.
반면 구글은 자체 개발한 AI 칩 텐서처리장치(TPU)를 중심으로 제미나이 시스템을 구축함에 따라 외부 지출 비용이 크게 줄었다. 주요 AI 서비스의 학습이 어느 정도 끝났다는 점에서 이제 추론에 강점이 있는 TPU가 더 힘을 발휘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결국 구글은 빅테크 중에서도 유일하게 AI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수직 계열화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엔비디아의 GPU에 크게 기대지 않고도 자체 칩으로 오픈AI를 앞지른 만큼 구글이 AI 산업 지형도를 다시 그릴 것이라는 기대도 커졌다.
세일즈포스의 마크 베니오프 창업자는 "3년 동안 매일 챗GPT를 써왔고 제미나이 3.0은 이번에 2시간 사용한 게 전부"라면서도 "추론, 속도, 이미지, 비디오 등 모든 것이 더 선명하고 빨라졌는데 이는 정말 놀라운 발전이고 (챗GPT로) 다시 돌아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알파벳의 주가는 이 같은 낙관론에 힘입어 이날도 6% 넘게 뛰고 있다. 2거래일 간 주가 상승률이 10%에 육박한다. 시가총액도 3조8천300억달러를 돌파하며 3조5천100억달러의 마이크로소프트(MS)를 제치고 미국 증시의 시총 3위로 올라섰다.
기술주 전반에 열기가 퍼지면서 엔비디아와 MS도 각각 2.05%와 0.40% 올랐다. 다만 장 초반에는 제미나이의 부상과 맞물려 GPU 중심의 엔비디아와 오픈AI에 대한 익스포저가 큰 MS는 투심이 저조했다.
제미나이의 약진에 힘입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4.63% 폭등했다. 그중에서도 브로드컴이 11.10% 급등하며 필리 지수 내 시총 순위에서 TSMC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TSMC도 3.48%, ASML은 2.20%, AMD는 5.53%, 마이크론테크놀로지는 7.99% 뛰었다.
브로드컴은 TPU 제조 측면에서 구글의 핵심 협력 업체다. 브로드컴의 강세는 AI 칩 시장 판도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심코프의 멜리사 브라운 투자 결정 리서치 담당 디렉터는 "알파벳과 알파벳 투자자에겐 좋은 일이지만 시장 상승을 이끄는 종목이 하나만 있을 땐 우려된다"며 "그것이 앞으로 며칠간 시장을 계속 올려줄 힘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가 3.94% 급등했고 기술이 2.49%, 임의소비재가 1.86%, 유틸리티가 1.12% 상승했다.
필수소비재는 1.32% 내렸다.
일라이릴리는 0.99% 올랐다. 지난주 시총 1조달러를 처음으로 돌파한 뒤 숨을 고르는 모습이다.
기술주 매수 심리에 힘입어 테슬라는 6.82%, 메타는 3.16% 뛰었다.
반면 월마트는 성장주 위주의 쏠림 장세에 1.20% 하락하며 소외됐다. 코스트코도 1.43%, 홈디포는 1.96% 내렸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85.1%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의 71.0%에서 뛰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와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12월 금리 인하를 지지한 영향이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2.91포인트(12.4%) 하락한 20.52를 가리켰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