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들 부시’ 정부서 역대 최강권한 부통령…논란 속 ‘두개의 전쟁’ 주도
▶ 부시정부 초기 대북강경책도 관여…말년에 트럼프 비난하며 해리스에 투표

딕 체니 전 부통령[로이터]
공화당 '네오콘'(신보수)의 상징이자, 미국에서 역대 가장 강력한 권한을 행사한 2인자라고 평가받는 딕 체니 전 부통령이 3일 별세했다고 미국 언론들이 보도했다. 향년 84세.
유족 측에 따르면 체니 전 부통령은 이날 밤 폐렴과 심장·혈관 질환 합병증으로 숨을 거뒀다. 고인은 생전 다섯차례 심근경색을 겪는 등 심장 질환과 오래 싸워왔다.
CNN은 고인에 대해 "미국 현대 시기에서 가장 강력한 부통령"이라며 9·11 테러에 대응해 "테러와의 전쟁을 설계한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1941년 네브래스카주 링컨에서 공무원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동부의 명문 예일대에 입학했다가 성적 부진에 중퇴한 뒤 자신의 정치 기반이 된 와이오밍주에서 대학(와이오밍대)을 졸업했다.
1968년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하원의원 밑에서 일하면서 정계에 발을 들인 뒤 1인자인 대통령을 빼고는 의회와 행정부에서 핵심 요직을 두루 맡았다.
그는 제럴드 포드 정권에서 34세에 백악관 비서실장으로 임명돼 1975년 11월부터 1977년 1월까지 재임했다. 당시로서는 역대 최연소 백악관 비서실장이었다.
1979∼1989년 와이오밍주에서 연방 하원의원을 지냈고 '아버지 부시'(조지 H.W. 부시) 정권 때 국방장관(1989∼1993년)으로 재임하며 쿠웨이트를 침공한 이라크를 상대로 한 걸프전쟁을 이끌었다.
이어 민주당 클린턴 행정부 기간 댈러스에 본사를 둔 석유 산업 관련 대형 건설사 할리버튼의 최고경영자를 맡았다. 할리버튼은 훗날 체니가 부통령으로 몸담은 '아들 부시'(조지 W. 부시) 정권에서 정부와 독점계약 등으로 수혜를 보면서 이해충돌 논란을 불렀다.
고인의 정치 인생 정점은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부통령 후보)로 출마한 2000년 대선에서 역대급 접전 끝에 승리하며 이듬해 백악관 입성에 성공한 때였다.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아들 부시 정권에서 두차례 부통령으로 임기를 함께했다.
고인은 대통령 유고시를 대비한 '스페어' 역할에 그쳤던 전형적인 부통령상과는 다른, 국방·외교를 중심으로 정책을 주도하는 실세형 부통령으로 자리매김했다.
미국의 힘을 바탕으로 미국 주도의 자유민주주의 이념을 전세계 독재국가에까지 이식할 수 있다고 믿어 9·11 테러 이후 미국의 2003년 이라크 침공을 설계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정치 스승 격인 럼즈펠드 당시 국방장관과 함께 9·11 이후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전쟁도 주도했다. 두 전쟁은 미국에 젊은이들의 막대한 희생과 전비 소모를 안기며 진보 진영은 물론 보수 진영에서도 정치에 대한 큰 환멸을 낳았다는 것이 대체적 평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고인으로 대표되는 네오콘과 군산복합체를 줄기차게 비판하며 대외 개입 자제를 포함한 '미국 우선주의'를 설파했다는 점에서 고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두차례 집권에 '본의 아닌 기여'를 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테러와의 전쟁 과정에서 테러 용의자에 대한 고문 등 문제가 드러났고,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보유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토대로 이라크 전쟁을 시작했다는 점에서 그는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애덤 맥케이 감독의 2018년작 영화 '바이스'(Vice)에서도 두개의 전쟁과, 전쟁에서 이익을 얻는 군산복합체 등을 둘러싼 고인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총망라됐다.
고인은 아들 부시 행정부가 초반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한 채 관여보다는 압박과 고립을 도모한 데도 상당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북한이 2006년 제1차 핵실험에 성공한 후 그를 비롯한 매파 주도의 강경책이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평가가 커지면서 대북정책의 주도권이 콘돌리자 라이스 당시 국무장관 등 협상파 쪽으로 넘어가게 됐다.
공화당 내에서 막강한 파워를 자랑했던 체니 전 부통령은 말년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미국의 가장 큰 위협으로 규정하며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의회에 난입한 2021년 1·6 사태 조사위원회에 고인의 딸 리즈 체니 전 하원의원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트럼프 대통령과는 돌아갈 수 없는 다리를 건너게 됐다.
딸을 위한 TV 정치 광고에서 고인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도널드 트럼프보다 우리 공화국에 더 큰 위협이 된 개인은 없었다"며 "그는 거짓말과 폭력으로 지난 선거(2020년 대선)를 훔치려 했고 유권자들이 자신을 거부한 뒤 권좌에 계속 남으려 했다"고 비판했다.
평생 공화당 정치인으로서 여러 요직을 맡았음에도 2024년 대선에서는 민주당 후보였던 카멀라 해리스에게 표를 던졌다고 밝히기도 했다. 딸 리즈 체니도 지난 대선에서 해리스 후보를 지지하며 민주당 선거 운동을 함께했다.
유족은 부인(린 빈센트)과 두 딸(리즈·메리)이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