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강세로 마감했다.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강력하다며 'AI 거품론'을 일축하자 증시가 강세로 화답했다. 엔비디아는 5% 넘게 뛰며 시가총액 5조달러에 바짝 다가섰다.
28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1.78포인트(0.34%) 오른 47,706.3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5.73포인트(0.23%) 상승한 6,890.89, 나스닥종합지수는 190.04포인트(0.80%) 뛴 23,827.49에 장을 마쳤다.
3대 주가지수는 이날도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종가 기준으로도 사상 최고치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빅테크들이 증시를 끌어올렸다.
엔비디아는 이날 5% 급등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주가가 200달러를 돌파했고 최고치도 경신했다. 종가 201.03달러 기준으로 엔비디아의 시총은 4조8천500억달러에 도달했다. 전인미답 시총 5조달러까지 1천500억달러 정도만 남겨둔 상황이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시장에 퍼져 있는 AI 거품론을 일축하면서 낙관론이 엔비디아에 힘을 실었다.
황은 이날 GTC 개발자 회의에서 "AI 모델이 이제 충분히 강력해졌고 고객들도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려 하고 있다"며 "이것이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정당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향후 5개 분기 동안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인) 블랙웰과 루빈과 관련해 5천억달러 규모의 주문이 확보돼 있다"며 이들이 전례 없는 판매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이와 함께 핀란드의 통신장비 업체 노키아에 10억달러를 투자하며 지분 2.9%를 취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신망 인프라가 확장 국면에 있다는 판단이다.
호라이즌인베스트먼트의 마이크 딕슨 리서치 전략 총괄은 "역사적 기준으로 볼 때 증시 밸류에이션은 상당히 높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로부터도 받을 수 있는 지원은 거의 다 받았을 것"이라며 "이제 실적이 증시를 주도할 수밖에 없는데 일단 우리는 (호실적을) 확실히 목격했다"고 말했다.
이날 애플도 처음으로 장 중 시총 4조달러를 돌파하며 회사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전 세계 기업 중에선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이어 세 번째 4조달러 돌파다.
이날 종가 기준으로 애플의 시총은 3조9천900억달러다. 앞으로 4조달러 레벨에 안착하기 위한 힘 싸움이 예상된다.
MS도 이날 2% 뛰며 시총 4조400억달러에 종가를 형성했다. MS가 종가 기준으로 시총 4조달러를 상향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7월 31일 MS는 회사 역사상 처음으로 장 중 시총 4조달러를 돌파한 바 있다.
시장에선 이른바 '매그니피센트7'으로 불리는 7개 빅테크가 기술 산업을 주도한다고 평가하지만 엔비디아와 MS, 애플은 그중에서도 기업 가치를 4조달러까지 늘리며 또 다른 구분선을 짓고 있다.
세 회사 다음으로 미국 증시에서 시총이 큰 알파벳은 시총 3조달러를 시험하는 상황이나 아직 안착하진 못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주가지수가 강세를 보인 것과 별개로 임의소비재와 소재, 기술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부동산은 2% 넘게 떨어졌고 유틸리티와 에너지도 1% 이상 내렸다.
유나이티드헬스는 시장 예상치와 기존 가이던스를 상회하는 3분기 순이익을 발표하면서 강보합을 기록했다.
글로벌 물류업체 UPS는 3분기 호실적이 8% 올랐다.
미국 온라인 결제업체 페이팔은 오픈AI와 협력 소식에 주가가 11% 넘게 급등하다 3.94%로 마무리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90.8%, 인하폭이 25bp에 그칠 확률(12월 동결)은 9.2%로 반영됐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63포인트(3.99%) 뛴 16.42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