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미국에 온 지도 어느덧 25년이 되어간다. 처음 직장을 잡았을 때 회사에서 은퇴자금을 조금씩 납부해 주었는데, 최근 들어 그 자금을 한곳으로 모으기 위해 이체(transfer) 신청을 하다 보니 문제가 생겼다.
이름이 다르게 표기되어 있었던 것이다. 처음 미국에 왔을 때는 여권상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했다. 즉, Dong Hyun Kwak으로 기재되었는데, 그 결과 First Name은 Dong, Middle Name은 Hyun으로 처리되었다.
당시에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았지만, 융자업을 하다 보니 이 문제가 단순히 귀찮은 일로 끝나지 않는다는 걸 절실히 느낀다. 필자의 크레딧 리포트를 뽑아 보면 이름이 Dong Kwak, Dong H. Kwak, Dong Hyun Kwak, Donghyun Kwak 등 제각각으로 나온다. 결국 첫 단추를 잘못 끼운 탓이다.
만약 한국에서 여권을 만들 때 이름을 붙여서 Donghyun Kwak으로 기재했다면 이런 문제는 애초에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구청 직원이 이름을 띄어 적어주는 바람에 불필요한 혼란이 시작된 셈이다. 그래서 10여 년 전 시민권을 받으면서 아예 이름을 Donghyun Kwak으로 공식적으로 변경해 버렸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첫 직장에서 시작된 은퇴자금을 현재 계좌로 옮기려 하니, 여전히 이름 문제로 확인 절차가 필요했다. 다행히 본인 확인 서류와 싸인을 통해 해결해 나가고 있다. 이처럼 이름은 평생 따라다니는 중요한 요소다. 특히 융자를 받을 때는 이름이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융자 시 이름은 어떻게 결정될까? 융자서류에 기록되는 이름은 본인이 원하는 대로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매매계약서(Contract)에 적힌 이름 그대로 사용된다. 따라서 주택을 구입할 때 계약서에 이름을 적을 때, Deed와 융자서류에 어떤 방식으로 이름이 표기되길 원하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정확히 기재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이처럼 이름과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함께 짚어보고자 한다.
1.형제간의 혼용
크레딧 리포트에 이름으로 문제 중 가장 큰 것이 크레딧 상에 본인 기록이 아닌 것이 올라와 있는 것이다. 특히 혼용되는 것 중 형제간의 기록들이 많다.
만약에 이름에 돌림자를 사용하는 가정에 자녀 셋이 있는데 ‘김영수’,’ 김영호’그리고 ‘김영애’라고 하면 이들의 이름은 영문으로 한자식 표기해서 사용했을 시 이들 모두가 ‘YOUNG KIM’으로 혼용될 수가 있다.
비슷한 이름에 주소까지 동일하면 크레딧 카드를 만들거나 융자를 받을 때 설령 본인은 이름을 제대로 표기를 했다고 하더라도 카드사 직원들이나 이를 자료를 받아서 옮기는 크레딧 회사들의 직원들의 실수로 이름이 혼용되기가 십상이다.
실례로 지금 융자 신청하는 고객이 있는데 이 고객은 분명 첫 주택 구입자이다. 그런데 크레딧을 떼어보니 크레딧 상에 모기지 융자받은 것이 올라와 있었다. 필자가 깜짝 놀라 이것이 누구 것인지 추적해 보니 고객의 형의 것인데 이름이 비슷하여 동생 크레딧에 올라와 있었던 것이었다.
다행인 것은 형이 크레딧 관리를 아주 잘하여 고객의 크레딧이 무려 800점대에 육박했다. 젊은 고객이 짧은 기간에 아무리 크레딧 카드나 자동차 페이먼트를 잘 관리해도 얻기 힘든 점수였는데 이유는 형의 모기지 페이먼트가 수십 개월 동안 한 번도 연체되지 않고 꼬박꼬박 잘 갚은 이유에서였다.
이런 경우는 형이 모기지 페이먼트를 하고 있다는 증빙인 12달 페이먼트 기록을 보여주거나 아니면 형이 융자받은 ‘NOTE’(융자 약정서)를 보내 그 융자 기록이 본인 것이 아님을 증빙을 하고 크레딧 회사에 그 기록을 삭제 요청을 하면 된다.
이때 고객이 조심스레 물어온다 혹시 형의 기록을 빼게 되면 본인의 점수가 내려 가는지? 다행히 융자에 크레딧 점수는 변동이 없다 하지만 그 기록이 원래로 조정이 되면 약간 영향을 받을 것이다.
2.타인과의 혼용
앞서 가족 간에 크레딧 혼용은 그래도 수정하기가 수월하다. 그런데 한 콘도에 비슷한 이름의 세입자들의 크레딧이 혼용된 것은 그 수정이 여간 까다롭지가 않다.
특히 한인들의 밀집지역의 콘도에서 이 씨, 김 씨, 박 씨 성을 가진 고객들은 비슷한 이름들이 수도 없이 많다. 필자의 은행 직원들조차도 한국 사람 절반이 LEE 아니면 KIM이냐고 물어오니 말이다. 이런 고객들이 이름을 한자씩 띄어 사용하면 주소는 동일하고 콘도 호수만 다른 크레딧 상 중복이 수도 없이 발견된다.
형제도 아닌 완전히 남의 크레딧이 내 기록에 들어와서 자라고 있으니 이 얼마나 황당하고 불안한가? 일례로 한 고객은 본인 크레딧이 750점은 충분히 넘을 것이라 자신을 했다. 흔한 이름을 가진 고객이라 약간 걱정을 하며 크레딧 조회를 했는데 $250 전화요금 콜렉션 기록이 나왔다.
다행히 크레딧 회사 한 곳에만 콜렉션이 올라와 있어서 융자에 있어서 크레딧 점수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이 콜렉션 기록이 처리가 되어야만 융자를 할 수가 있다. 가장 쉬운 방법은 콜렉션 비용을 지불하면 되나 이럴 경우 크레딧 상에 수년간 이것이 본인의 콜렉션으로 남는다.
이것을 처리하기 위해선 우선 크레딧 회사의 편지로 경찰에 크레딧 혼용 리포트를 받아서 콜렉션 에젼트에 제출을 하고 그곳으로부터 이 건이 본인 것이 아니라는 편지를 받아서 다시 크레딧 에전트로 편지를 보내 이 기록을 지워 달라고 요청을 해야 한다.
이 모든 일이 필자의 몫이다. 워낙에 이런 경우가 많으니 이제는 필자의 은행의 융자 프로세서나 심사관들도 한인 고객들의 이런 사항들에 대해서 좀 익숙해져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3.이름의 수정
시민권을 취득하거나 결혼후 공식적으로 이름을 바꾸는 경우가 있다. 고객중 퍼스트 네임을 영문 이름으로 하고 한국 이름을 이니셜로 미들 네임으로 하는 경우 거나 간혹 미들 네임을 영문 이름을 끼워 넣는 경우도 있고 남편을 따라 성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중요한 것은 이름을 바꾸고 난 뒤에 꼭 크레딧 점검을 해 봐야 한다. 예전 이름으로 사용되었던 크레딧 기록이 그대로 바뀐 이름으로 전송이 되어야 되는데 앞서 언급한 것처럼 융자 중에서 새로 바뀐 이름에 크레딧 기록이 하나도 전송이 되지 않아 애를 먹은 경우가 있다.
이를 경우 이름 변경 서류를 첨부해서 크레딧 회사로 보내 동일 소셜번호의 예전 크레딧 기록을 새로운 이름을 기록이전을 해야만 한다. 그러니 고객 중 만약 이름을 바꾼 고객이 있다면 자동차 융자나 주택 융자 이전에 꼭 크레딧이 제대로 전달이 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한다. 그래야 융자시 갑자가 황당한 일들을 피할 수가 있다.
이처럼 이민자로 살고 있는 우리는 이름의 중요성을 잘 깨닫고 관리를 할때 내집마련시 불필요한 수고를 들수 있다.
▷문의: 917-696-3727
<
곽동현/부동산칼럼니스트 NMLS ID 525280>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