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체타개 위해 중국 회담 서둘러
▶ 관세 완화 등 테이블 올릴듯
최근 상호 관세 전쟁으로 동반 경기 침체 위기에 빠진 미국과 중국이 올 상반기 안에 정상회담을 추진한다는 외신 보도가 잇따라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모두 올 들어 경기 부양 실패로 정치적 수세에 몰린 가운데 관세와 환율, 북한·대만 문제 등을 폭넓게 담은 외교적 성과로 위기를 타개하려 할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1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과 중국이 6월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첫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WSJ는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이후 양측이 정상회담에 대한 의사를 이미 교환했고 양국 정상들이 동시에 생일을 맞는 6월에 회담을 열기로 의견을 조율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논의는 초기 단계이므로 추후 변경될 가능성도 크다고 덧붙였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도 미중 정상회담 논의 사실을 알리면서 그 시점을 이르면 4월로 앞당겨 보도했다. WSJ는 “중국은 트럼프가 베이징을 방문해 회담하는 것에 더 큰 관심을 보인다”며 “시 주석이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는 모습은 미국의 압박에 애걸복걸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미중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두 나라 정상이 만나는 첫 자리가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시절 시 주석과 총 네 차례 정상회담을 가졌으나 새 임기에는 취임 전후 통화 사실만 공개했다.
미국과 중국이 정상회담 준비를 서두르는 것은 국내총생산(GDP) 세계 1·2위 국가 간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전체 경제는 물론 두 나라 경제도 상당한 충격을 받고 있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해 총 20%의 세금을 매긴 상태다. 중국도 곧바로 미국산 농축산물 등에 대해 10~1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며 출혈 경쟁에 나섰다. 그 여파로 중국은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3개월만에 하락 전환했고 미국도 경제·증시 지표가 모두 악화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모두 자칫 관세 부과와 내수 진작 정책 실패라는 정치적 부담을 떠안게 될 상황을 맞은 셈이다.
<
이완기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3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마가 들은 트럼프한테는 참 관대하다. 바이든때는 인플레 때문에 못살겠다고 그렇게 아우성 치더니 지금 트럼프때 주식 곤두박질 치고 계란값은 더 오르고 여기 저기 layoff 당하는데도 찍소리 안한다. ㅋㅋㅋ 이게 만약 바이든이었다면 입에 게거품 물고 ㅈ ㅣ ㄹ ㅏ 했을텐데.
급해진거 트 쓸헤기 맞음. 돌아가는 꼬라지 파악 못하는 마가벌레들은 어쩜 2찍과 동급유전자 대갈빡과 똑같을까? ㅋ
기사 타이틀을 달아도 다급해진 트럼프?반 트럼프에 이젠 친중까지? 요새 기자들 왜 그런가? 중국측에서 자국 국내사정이 워낙 심각해 자리를 비울 수가 없다고 읍소를 하니 가는 건데. 또 몇몇 나라를 가는 길에 방문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