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국가사적지 등재 기념…美 국립공원청장 “등재 가치 매우 높아”

(워싱턴=연합뉴스) 박성민 특파원 =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미국 국가사적지로 등재된 것을 기념하는 동판 제막식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대한제국공사관 건물 앞에서 열렸다. 2024.9.30
대한제국의 외교 흔적이 깃든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이 미국의 국가사적지(NRHP·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로 공식 등재된 것을 기념하는 동판 제막식이 30일(동부시간) 오전 열렸다.
워싱턴DC 시내 옛 대한제국공사관(Old Korean Legation) 건물 앞에서 진행된 이날 제막식에는 조현동 주미대사와 찰스 샘스 미 국립공원청장 등이 참석했다.
조 대사는 인사말에서 "작년에 우리는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했지만, 사실 양국 외교관계는 142년 전인 1882년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로 거슬러 올라간다"며 "그래서 1889년부터 워싱턴DC에 한국 최초의 외교 공관이 개설됐다"고 소개했다.
조 대사는 또 "140년 전에 외교관으로 일했던 선배들은 140년 뒤 한국이 미국의 가장 가깝고 없어서는 안 될 동맹국의 하나가 될 줄은 몰랐을 것"이라며 "오늘날에도 이 건물은 여전히 한국과 미국의 영원한 우정의 상징이자 양국 국민이 공유하는 가치를 대변하는 건물로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미동맹이 앞으로 10년 동안 더욱 굳건하고 강력하게 이어지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샘스 청장은 축사에서 "이 건물은 한미관계의 오랜 역사와 관련된 주요 사건을 목격해왔고, 방문객들이 그 역사에 대해 더 많이 배울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한제국공사관은 국가 사적지로 등재될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했다.
백악관에서 불과 1.5㎞ 떨어진 곳에 있는 대한제국공사관은 지난 11일 미 국가사적지로 공식 지정되면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한국 정부가 소유하고 한국 역사의 중심이 됐던 장소가 미국에서 국가사적지로 등재된 것은 처음이다.
이 건물은 1887년 조선의 초대 주미전권공사인 박정양이 미국에 특파된 이후인 1889년 2월부터 주미공관으로 활용됐고,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잃은 1905년까지 약 16년간 조선의 외교활동 공간이었다. 하지만, 일제는 1910년 조선을 강제 병합한 이후 단돈 5달러에 이 건물을 매입한 뒤 팔아넘겼다.
우리 정부는 2012년 건물을 사들여 보수·복원 공사를 거쳤고, 2018년 5월 역사전시관으로 개관해 운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선조들이 일본국적이었다고 믿고 계시는 윤석열 대통령 총독님의 뜻과 반대되는 행사입니다. 윤총독님 기분나빠 술 더쳐드시겠네
헌궈 정부가 복원을 햤으면 건물이 리모델 됐을텐데...그럼 남ㅇ.ㄴ건 건물 벽과 마루와 지붕뿐...이걸 역사보존한다는건 좀 억지같다...옛적 가야인인가 미쿡까지 배타고 와서 내린곳에 가서 유적을 만들고 그걸 근거로 미쿡이 헌궈땅이란걸 주정하는게 나을것. .일제합병의 주범인 미쿡정부가 조선 영사관을 인정하고 역사를 돼돌리겠다고 하는건 또 뭐냐? 이게 말이 돼야지...어처구니가 없는 부관참시....한심한 헌궈인괴 그 정부. 아직도 조옷썬시대로 가고 깊은 노비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