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대형산불 현장서 최정예 대원들 진화 사투
▶ 현지 주요언론 집중 조명
“지구의 숲은 모두 하나입니다. 모두 함께 지켜야죠.”
캐나다 산불 진화를 돕기 위해 파견된 한국 해외긴급구호대(KDRT)를 현지 주요 언론이 집중 조명했다. 캐나다 CBC 방송은 지난달 29일 퀘벡주에서 산불을 끄고 있는 한국 구호대의 활약상을 상세히 전했다.
소방청 70명, 산림청 70명, 의료인력 3명 등으로 구성된 한국 구호대는 몬트리올에서 북서쪽으로 약 625㎞ 떨어진 인구 2,000명의 작은 마을 르벨-쉬르-퀘비용(Lebel-sur-Quevillon)에 배치돼 지난 5일부터 본격적인 진화 활동을 시작했다.
CBC는 한국에서 해외 산불 진화에 구호대를 보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높은 경쟁을 뚫고 선발된 인원은 전직 북한 침투 정보요원·육군 특수부대원·해군 특전단 대원 등이 포함된 최정예라고 소개했다.
방송은 또한 이들이 생활하는 베이스캠프의 모습부터 임무 수행에 나서는 모습, 낯설고 물선 타국에서 산불과 싸우는 고충 등을 전했다.
대원들은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 한데 모여 체조로 몸을 푼 뒤 장비를 챙겨 노란색 스쿨버스에 오른다. 한 시간 이상 이동해 현장에 도착하면 산불의 열기와 연무가 이들을 기다리고 있다. 온종일 힘겨운 진화작업을 벌이고 나면 온몸은 벌레에 물린 채 파김치가 돼 있다.
베이스캠프에 돌아오면 라면과 즉석밥, 통조림 김치, 한국 과자 등으로 피로를 달랜다. 초기에는 현지 음식에 적응하느라 애를 먹은 대원들도 있지만 몬트리올의 한인들이 한국 음식을 보내와 큰 힘이 됐다.
낯선 것은 음식뿐만이 아니다. 산불 진화 방식도 다르게 접근해야 했다.
산불 규모가 워낙 크고 동시다발적인 데다 불이 나무뿌리로도 번지기 때문에 연기가 피어오르는 땅속까지 파헤쳐야 한다. 이 때문에 진화작업 속도는 한국에서보다 느리다.
장푸른솔(28) 대원은 “처음 도착해서 현지 당국 관계자로부터 하루에 600m만 전진할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 아무도 믿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하루에 수 킬로미터씩 전진하는 것에 익숙하기 때문”이라며 “이곳에서 진화작업을 하면서 불이 어떻게 나무뿌리를 타고 가는지 알게 됐다”고 말했다.
대원 중에는 결혼을 앞두고 있거나 폭우가 내린 고향의 가족을 걱정하는 사람도 여럿 있지만 캐나다 산불 진화를 돕는 임무에 집중하고 있다고 CBC는 전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