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한미산악회원 7명, 워싱턴주 콜처크 피크 등반중
▶ 7,600피트 지점서 눈사태 만나 산골짜기로 추락⋯1명은 중상

뉴욕한미산악회 등반대가 오르다 사고가 난 워싱턴주 드래곤트레일/콜처크 피크 등산로.
▶구조대, 악천후 잠잠해지면 23~24일 시신수습 예상
뉴욕 한인 산악인 3명이 워싱턴주의 콜처크 피크 원정 등반 중 눈사태 사고를 만나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21일 뉴욕한미산악회에 따르면 워싱턴주으로 겨울 등정에 나섰던 뉴욕한미산악회 소속 회원 7명은 지난 19일 오후 1시(현지시간)께 콜처크 피크(Colchuck Peak) 7,600피트 지점을 오르던 중 갑작스럽게 발생한 눈사태에 휩쓸리면서 산골짜기 아래로 떨어지는 사고를 당했다.
이 사고로 뉴욕한미산악회의 조성태(53) 회장과 박윤권(66)씨, 이지니(60)씨 등 3명이 현장에서 숨진 것으로 전해졌으며, 박승찬 전 회장은 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었다.
함께 등반에 나섰던 나머지 2명은 다행히 눈사태에 휩쓸리지 않았으며, 또 다른 1명은 정상 도전에 나서지 않고 베이스캠프에서 머문 덕분에 사고를 피할 수 있었다고 산악회 측은 설명했다.
사고 직후 박 전 회장과 사고를 당하지 않은 대원들은 즉시 하산해 구조대에 신고를 하고 구조에 나섰으나, 강풍 등 악천후 탓에 구조 헬기가 뜨지 못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사고 조사에 나선 첼랜 카운티 셰리프국은 “사고 발생 당시 등반 선두주자가 빙벽을 오르던 중 얼음 도끼를 빙벽에 고정 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 균열이 눈사태가 발생한 원인으로 보여지고 있다”며 “이는 등반자의 책임이 아닌 겨울철 악천후에 빙벽을 오르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 재해의 원인 중 하나”라고 밝혔다.
구조대 측에서는 악천후가 잠잠해질 것으로 보이는 23일 또는 24일에나 헬기를 동원, 사고 현장에 접근해 시신을 수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등정에 나섰다가 다리 골절 부상을 입은 박승찬 전 회장은 21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사고가 나기 전까지 등반 과정에서 바람은 불었지만 산을 오르는 데는 큰 문제는 없었다. 하지만 베이스 캠프를 떠난 지 4시간 가량이 지난 지점에서 예상치 못한 눈사태가 갑자기 발생했고, 빠른 속도로 무너져 내리는 거대한 눈을 피하지 못한 채 골짜기 낭떠러지로 추락했다.”며 당시 급박했던 상황을 설명했다.
박 전 회장은 이어 “사고가 난 후 즉시 나머지 회원들과 하산해 구조대에 알린 후 조난자들 구조에 나섰으나 날씨 때문에 결국 시신 수습에는 실패했다”면서 “사고현장 지점에서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조 회장과 박윤권씨, 이지니 씨는 사망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뉴욕한미산악회에 따르면 조 회장 등 회원 7명으로 구성된 겨울등정 등반대는 지난 16일 뉴욕에서 시애틀로 출발해 드래곤트레일/콜처크 피크 원정을 한 뒤 20일 다시 뉴욕으로 돌아올 예정이었다.
사망한 조 회장은 10년 이상의 등반 경력을 가진 베테란으로 알려졌지만, 박윤권씨와 이지니씨는 경력이 5~6년 정도로 비교적 짧은 것으로 전해졌다.
<
이지훈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