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등 38개국 전후 재건 논의, 파괴 SOC 등 10년 걸쳐 정상화 “5000억 달러는 러 압류금 충당”
▶ 국제사회 재건 단일대오가 관건
우크라이나가 국가 복구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전후(戰後) 재건 청사진을 내놨다. 이를 위해 1,000조 원에 가까운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국제사회도 전쟁으로 폐허가 된 우크라이나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머리를 맞대면서, 제2차 세계대전 후 유럽 부흥을 이끈 ‘마셜플랜’의 뒤를 잇는 글로벌 연대 시작점이 될 거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으로 세계 경제에 초비상이 걸린 상황에서 각국이 얼마나 똘똘 뭉쳐 지원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러시아가 전쟁을 계속 이어가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으면서 재건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정부는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재건 회의’에서 전후 복구를 위한 3단계 계획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초토화된 국가를 10년에 걸쳐 정상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①우선 올해 상수도·교량 등 사회기반시설(인프라) 복구와 인도주의적 원조 등 긴급 지원이 이뤄진다. ②내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은 임시 주택과 학교·병원 건립에 나서고 ③2026년부터 2032년까지는 경제 회복과 디지털 정부 확립, EU 최종 가입 등을 이룬다는 구상이다. 2032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연 7%를 예상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러시아 침공으로 인한 피해 규모를 발표한 적은 있지만, 구체적 재건 계획과 비용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포성은 멎지 않았지만, 지금부터 전쟁 이후의 삶을 준비하겠다는 의지인 셈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재건 과정에는 7,500억 달러(약 972조 원)가 들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 중 3,000억~5,000억 달러는 전 세계가 압류·동결한 러시아 정부와 신흥재벌(올리가르히) 자산으로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우방국의 저금리 대출 등 재정 지원도 요청했다. 데니스 슈미갈 우크라이나 총리는 “러시아가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일으킨 만큼 책임져야 한다”며 “목표는 새로운 국가 건설”이라고 강조했다.
국제사회도 팔을 걷어붙였다. 유럽연합(EU)은 별도 창구를 설치해 우크라이나가 필요로 하는 사업과 외부 투자를 연결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국제 금융기관 유럽부흥개발은행과 유럽투자은행이 뛰어들고, 민간 부문과 시민사회 참여도 독려할 예정이다. 한국을 포함해 세계 38개국 정부 고위급 인사도 이날 회의에 참석해 전문가 교류와 기금 공여 등 재정 지원을 논의한 만큼, 우크라이나 복구를 위한 각국의 협력은 발 빠르게 이뤄질 전망이다.
이번 논의는 1947년부터 5년간 미국이 120억 달러를 투입한 유럽부흥계획, 이른바 ‘마셜플랜’에 비견된다. 프랑스24는 “막대한 원조를 투입한 마셜플랜처럼 우크라이나 사태에서도 사전에 기초를 잘 닦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동결된 러시아 자금 사용이 향후 법적·정치적 문제를 불러올 가능성이 큰 탓에 각국 의견이 엇갈리면서 실제 자원 마련까지는 험로가 예고됐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을 몰수하는 것은 동맹국과의 협력을 통해서만 이뤄져야 하며 가볍게 해선 안 된다”고 우려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