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피 원두서 산업재까지…원자재 ‘품귀 경고등’
▶ 경제재개로 수요가 공급 압도, 구리 재고 일주일 치도 안남아…알루미늄도 “내년 소진” 전망
커피 원두 재고 22년래 최저, 물량 확보 위해 웃돈 지급까지
세계 원자재 시장에 ‘품귀 경고등’이 켜졌다. 대표적 산업 원자재인 구리는 재고가 1주일치도 남지 않았으며 또 다른 핵심 원자재인 알루미늄과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필수 광물인 리튬도 재고 부족이 위험 수위에 다다랐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멈췄던 경제가 재개되면서 급증한 수요가 공급을 앞질러 벌어진 일로 경기 회복 속도가 빨라질수록 원자재 부족과 이에 따른 가격 급등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문제다.
13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세계 주요 상품거래소의 구리 재고량은 현재 총 40만 톤에 불과하다. FT는 “40만 톤은 각국의 수요를 1주일도 감당하지 못하는 양”이라고 분석했다.
알루미늄 역시 재고가 바닥 수준이다.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최근 알루미늄 재고가 내년이면 소진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식품 쪽 원자재도 재고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커피가 대표적으로 아라비카 원두 재고는 최근 22년래 최저치로 떨어졌다. 산업용과 에너지·식품에 이르기까지 원자재 시장에 재고 부족이 만연한 것이다.
시장 정보 업체 레피니티브에 따르면 23개 원자재선물지수 가운데 40%가량인 9개에서 현물 가격이 선물 가격보다 높은 ‘백워데이션’이 발생했다. ‘프리미엄(웃돈)’을 얹어주고라도 당장 필요한 물량을 확보하다 보니 벌어진 일이다.
골드만삭스의 니컬러스 스노든 연구원은 “재고가 이렇게 떨어진 것은 전례가 없던 일”이라고 말했다.
재고 부족은 원자재 가격을 천정부지로 치솟게 만드는 원인이다. 알루미늄은 최근 톤당 3200달러로 13년 만에 가장 비싼 가격을 기록했다. 구리 가격도 최근 톤당 1만 달러 이상으로 올랐고 아라비카 원두는 1년 전보다 2배가량 비싸진 2.6달러(파운드당) 안팎이다.
재고 부족과 가격 급상승은 팬데믹으로 위축됐던 경제와 산업이 재가동하면서 수요가 커진 데 따른 영향이다.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도 한 요인이다.
반면 공급은 태부족이다. 원자재 공급난이 원자재 생산 축소로 이어진 사례까지 발생했다. 생산 원가의 40%를 전기가 차지하는 알루미늄의 경우 에너지 수급난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의 영향으로 유럽·중국 등 주요 생산지들이 감산에 나섰다.
탈탄소 흐름 역시 원자재 위기를 가중시킨다. 씨티그룹은 올해 배터리용 리튬 수요가 공급을 6%가량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배터리용 리튬 가격은 전기차 양산 확대로 지난해 한 해만 무려 400%나 치솟았다.
유가는 이미 배럴당 100달러를 눈앞에 뒀다. 팬데믹으로 축소됐던 산유국 원유 생산량의 원상 회복이 지체되는 탓에 유가는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은 우크라이나 사태라는 지정학적 변수에 직면한 상황이다.
<
조양준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