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나이키의 인수추진설 속 후임 CEO 인선해 자구책 모색

A person walks past a Peloton store in the Manhattan borough of New York City, U.S., January 25, 2022. REUTERS/Carlo Allegri
미국 홈 피트니스 업체 펠로톤이 경영난에 부닥치면서 최고경영자(CEO)가 물러나고 직원 2천800명을 해고하기로 했다.
펠로톤은 8일 공동 창업자 겸 CEO인 존 폴리(51)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 이사회 의장으로 옮긴다고 밝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펠로톤은 또 사무직 직원의 20%인 약 2천800명을 해고하고 이사회도 재정비하기로 했다. 비용 절감으로 연간 약 8억달러(약 9천570억원)의 지출을 줄이고 올해 설비투자도 약 1억5천만달러(약 1천796억원) 감축하기로 했다.
후임 CEO로는 음악 스트리밍 업체 스포티파이와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에서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맡았던 배리 맥카시(68)가 지명됐다.
펠로톤은 실내 자전거 제조업체로, 온라인 스트리밍을 이용한 가상 코칭 수업, 운동량 측정·관리 등의 기능을 접목한 프리미엄 실내 자전거를 표방하고 시장을 키워왔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피트니스센터, 체육관 등이 문을 닫자 수요가 치솟으면서 대표적 팬데믹 수혜 기업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코로나19 봉쇄령이 풀리면서 수요가 급감하고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자 이 회사 주가는 최근 최고점과 견줘 80% 넘게 하락했다. 약 1년 전 500억달러(약 59조8천억원)로 정점을 찍었던 펠로톤의 시가총액은 최근 80억달러(약 9조5천700억원)로 쪼그라들었다.
이에 따라 지난달에는 행동주의 투자자인 블랙웰스 캐피털이 펠로톤에 CEO를 해고하고 매각을 검토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어 미 언론들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 스포츠용품 기업 나이키 등이 펠로톤 인수전에 뛰어들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펠로톤을 인수할 경우 부유한 고객과 그들의 데이터는 물론 급성장하는 건강·헬스 시장 관련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언론들은 보고 있다.
블랙웰스는 이날 폴리 창업자의 사임 발표가 나온 뒤에도 그가 의장으로 옮기는 대신 완전히 회사를 떠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펠로톤을 매각할 경우 주당 65달러의 가치에 팔 수 있다고 추정한 보고서를 내놨다. 펠로톤 주가는 전날 29.75달러에 장을 마쳤다.
그러나 후임 CEO 지명은 펠로톤이 독자 생존을 모색 중이며 적어도 큰 폭으로 주저앉은 현재의 주가에는 회사를 팔 생각이 없음을 시사한다고 WSJ은 풀이했다. 폴리 창업자는 다른 임원들과 함께 이 회사 의결권의 80%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