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스마트시티 건설에 韓기업 참여 확대에도 공감대
▶ 수소 분야 협력 등 MOU 체결…사우디, 한반도 평화 노력 지지

(리야드=연합뉴스) 중동 3개국을 순방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킹칼리드 국제공항 왕실터미널에 도착, 공식 환영식이 끝난 뒤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환담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공식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오후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공식회담을 하고 양국 간 실질 협력 증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 간 회담은 지난 2019년 6월 왕세자가 방한했을 때에 이어 2년 7개월여 만이다.
문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는 이날 리야드의 야마마 궁에서 열린 회담에서 1962년 수교 이래 60주년을 맞은 양국 관계가 에너지, 건설·플랜트 분야를 넘어 수소에너지, 원전·방산 등 미래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양국이 수소에너지 분야의 강점과 노하우를 공유해 사우디의 '넷 제로'(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에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가 206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는 만큼 앞으로 한국이 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선진 기술과 노하우를 공유해 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국가 에너지원을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하는 방안을 포함하는 사우디의 '비전 2030' 이행에 많은 한국 기업의 참여를 기대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 역시 한국 기업들의 사우디 진출을 더욱 활발히 하기 위한 노력에 공을 들였다.
문 대통령은 "왕세자가 주도하는 스마트시티 건설 프로젝트인 '네옴시티'에 더 많은 한국 기업의 참여를 기대하며, 사우디 투자자들의 한국 내 투자가 늘어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사우디 서부에 건설 중인 '네옴시티'는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종전선언 등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설명했고, 빈 살만 왕세자는 이 같은 노력을 최대한 지원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을 계기로 각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총 11건의 문건이 체결됐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양국 교육부 간 교육협력프로그램 문건을 비롯해 우리 기업과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 간 자원 관련 거래를 원활하게 하는 내용을 담은 기본여신약정 주요조건합의서 등이 포함됐다.
양국은 수소공급망 협력 양해각서 등으로 수소 분야 협력을 늘리기로 했다. 두산중공업은 사우디 산업투자공사와 선박기자재 등을 생산하는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계약을 맺었다.
'토종 인공지능(AI) 주치의'로 알려진 '닥터앤서' 수출 구매의향서도 체결됐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20년 11월 인공지능 관련 행사에서 "태어난 지 세 돌이 되도록 고개도 못 들던 발달지연 아기가 정밀진단 인공지능 '닥터앤서'의 진단과 처방으로 한 달 만에 고개를 들고 기어다니게 됐다"며 그 성과를 언급한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