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유층 휴양지 피신할 때 목숨 걸고 음식 배달, 공장 출근
▶ 저소득층 인터넷 환경 열악… 장기화 땐 아이들 교육 격차

지난 27일 캐나다 밴쿠버의 한 거리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배달원이 오토바이에 음식을 실은 채 코로나 19 위험성을 알리는 게시물 뒤로 지나가고 있다. [AP]
자본주의의 본산 미국에서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계층별 삶의 모습이 더욱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각 주가 재택근무, 외출 자제 등 다양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을 시행한 이후 불평등한 사회의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난 것이다. 바이러스는 만민에 평등하게 침투하지만 대책의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뉴욕타임스(NYT)는 28일 “코로나19로 인한 격리조치가 계층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일종의 ‘코로나19 카스트제도’가 만들어졌다”고 전했다. 부자들은 안전지역 별장에서 호화로운 격리생활을 누리는 반면, 재택근무가 불가한 직종의 저소득 노동자들은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매일 출근해 가진 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계층 격차는 주거, 의료, 교육 등 분야를 가리지 않는다. ‘화이트칼라’ 노동자 중에서도 초고소득층은 인구밀도가 높은 도심을 떠나 휴양지나 교외 별장으로 피신하고 있다. 수영장과 체육관 등이 딸린 호화 벙커를 짓는 일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결론은 부자들의 일상은 코로나19 전이나 후나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 이런 식이다. 아이들은 넓은 마당에서 뛰놀다 시간이 되면 방에서 맨해튼사립학교의 온라인 수업을 듣는다. 300~400달러에 시내 유명 음식점 음식을 문 앞으로 배달 받고, 건강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생기면 8만달러짜리 민간보험으로 코로나19 검사와 치료를 해결한다.
바이러스가 득실대는 도시에 남은 이들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대다수 중산층과 저소득층 노동자들뿐이다. 여기서도 계층은 다시 나뉜다. 중산층은 “부유한 동료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고 토로하지만 수많은 서비스업 종사자와 생산직 등 ‘블루칼라’ 노동자에 비하면 이들 역시 특권층이다. 집에 앉아 사무실과 같은 효율로 업무를 수행하면서 온라인스트리밍 및 배달 서비스 등 자가격리의 호사(?)를 누릴 수 있어서다.
부유층과 중산층의 위험 지분은 음식 배달원과 종업원, 생산직 노동자가 그대로 떠안았다. 마크 페론 미 식품상업노조연합(UFCW) 위원장은 신문에 “휴교령이 연장되고 돌봄시설이 문을 닫으면서 맞벌이 가정 아이들이 집에 홀로 남겨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재택근무자와 달리 경제활동과 육아를 병행할 수 없는 탓이다. 저소득 가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인터넷 접속환경도 열악해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 취약계층의 교육격차 역시 더 벌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NYT는 “‘전 국민이 단결해 바이러스를 극복하자’는 독려는 그저 구호에 불과하다”며 “실제 재난상황에서 미국인의 삶은 양극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비판 목소리는 저소득 노동자들을 방역 사각지대에 방치하는 정치권으로 향하고 있다.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와인회사를 운영하는 하워드 바바넬 대표는 신문에 “화이트칼라만을 위한 격리조치를 시행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
강유빈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6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여기서 사회주의사회에서 살아본넘잇으면 손들어봐 . 살아보지못하고 그사회를 론해? 절음발이 남의흉본느것과 뭐가다르니? 빙신찌들이,,,,사회주의사회목표가 공산주의 사회로가는건데 뭔 사회발전성도모르는넘들이 여기서 뭔지랄이야
자본주의 사회에도 계급간격이 더 심해지는데 겉으로는 아닌 척하며 사람이 먼저 국민이 먼저 민주가 먼저라며 위선을 쩐다 소달구지에서 국민자가용 시대로 변한 지금도 시대착오적인 이념논쟁을 하면서 일 안 하고 돈을 버는 상위 권력층에 편승하려는 미주 한국 기생충들이 문제인 트럼프를 가르고 도요다 다이쥬 민주를 떠들면 사람들이 지지를 하는 줄 착각
공산주의나 사회주의 사회에도 계급주의 더 심하면서도 겉으로는 아닌척하며 사람이 먼저라며 위선이 쩐다. 그들이 말하는 "사람"은 자기들만 뜻하건만 일반인은 자신들도 포함되는줄 착각.
어렸을적 보리고개시절때 자란 한인들은 옛부터 부를 동경해왔죠. 부자들의 옷차림 행동거지 여유 자신만만한 태도들 다 따라하고싶었죠. 그래서 지금도 부자들에 대한 동경은 계속되왔고 그들에 대해 굉장히 관대합니다. 지금의 자본주의는 400년을 거치면서 온갖 허점이 나타나고 초 부자들은 이런 허점을 알고 갖고있는 부를 이용해 더욱 더 부를 축척하고있고 이 재산을 후세에 남김니다. 그 후세는 더욱 더 부자가 되죠. 헌데 일반시민들은 이런 시스템을 그저 그러려니하며 받아들입니다. 결국 시민들이 보바들이죠.
공산주의나 사회주의 사회 에서도 계급 사회 현상 만연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