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화 “자의적 판단 민감한 내용 파기” 공격
▶ 진보진영 일부 대타 ‘워런 띄우기’ 나서
■ 뉴스 포커스 / 힐러리 이메일 논란
민주당의 유력 대선 주자인 힐러리 클린턴(사진) 전 국무장관의 머리 위에 짙은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이 구름이 그대로 지나갈지, 아니면 대규모 비바람을 불러올 태풍의 전조인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힐러리를 둘러싼 논란은 그가 약 4년간의 국무장관 재임기간 관용 이메일 계정을 따로 만들지 않은 채 개인 이메일만 사용했고, 그마저 국무부 서버에 저장하지 않았다는 뉴욕타임스(NYT)의 보도가 발단이 됐다.
NYT 보도가 나오기 무섭게 공화당은 연방법 위반이라며 일제히 ‘힐러리 때리기’에 나섰다. 공화당의 지적대로 연방법은 정부 관리들의 편지나 이메일은 기밀이나 민감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부기록물로 보관토록 규정하고 있다.
공화당의 파상공세에 아랑곳없이 침묵을 지키던 힐러리는 10일 뉴욕 유엔 본부 연설 후 기자회견을 하고 국무부의 관용 계정을 이용하지 않고 개인 이메일만 사용한 것은 두 개의 계정을 유지하는 불편을 피하기 위한 취지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그의 해명은 논란을 해소하기는 커녕 오히려 확산시켰다. 공화당은 “재임기간 주고받은 6만개의 이메일 가운데 절반 정도는 개인 일상사라 삭제했다"는 대목을 물고 늘어졌다.
개인 일상사라는 자의적 판단의 잣대로 이메일을 삭제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는 게 공화당 측 반론이다.
더욱이 삭제된 이메일 가운데 리비아에서 발생한 벵가지 미국 영사관 습격사건 직후의 메일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상황이 더욱 복잡해졌다.
벵가지 사태는 9.11 테러 11주년인 2012년 9월11일 리비아 무장반군이 벵가지 미 영사관을 공격해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대사 등 미국인 4명이 숨진 사건이다.
미 하원 벵가지 특위의 트레이 가우디(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 위원장은 11일 MSNBC 인터뷰에서 “어떤 것이 공적 이메일이고 어떤 것이 사적 이메일인지를 클린턴 전 장관 본인이 판단하면 안 된다"고 지적하고 공적 이메일이 하나도 삭제되지 않았다는 점을 증명하려면 “개인 이메일 서버를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제3의 단체에 넘겨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 국무부는 클린턴 전장관의 개인 이메일을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하기로 했다. 하지만 공화당은 모처럼 찾아온 ‘호재’를 살리기 위해 앞으로도 당분간 개인 이메일 논란을 부각시키면서 ‘힐러리 검증’의 고삐를 바짝 죌 것으로 알려져 파문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이메일 논란에도 불구하고 힐러리에 대한 민주당원들의 지지도는 크게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NBC 방송과 일간 월스트릿저널(WSJ)이 전국 민주당 성향 유권자 1,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2016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힐러리를 지지한다는 당원이 86%였고 반대한다는 응답자는 13%에 불과했다.
힐러리에 대한 호감도도 개인 이메일 사용에 대한 논란이 일기 전인 지난 1월과 별 차이가 없었다. 그를 긍정적으로 보는 성인 유권자 비율은 44%, 부정적으로 여기는 비율은 36%로 1월 조사(호감도 45%, 비호감도 37%)와 엇비슷했다.
그러나 일부 진보진영 단체들이 곤경에 처한 힐러리 대신 ‘워런 띄우기’에 나서는 등 민주당 진영 내부의 반발 기미도 감지되고 있다.
진보단체인 ‘데모크라시 포 아메리카’(Democracy for America·DFA), ‘무브온’(MoveOn.org), ‘레디 포 워런’(Ready for Warren) 등 3개 단체는 10일 각각 별도의 성명을 내고 초선인 엘리자베스 워런 의원의 대선 출마를 공개 촉구했다.
이들은 평소 클린턴 전 장관의 사고가 민주당의 이념보다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는데다 개혁대상인 월가와도 지나치게 가깝다고 지적하면서 ‘대선후보 불가론’을 제기해왔다.
워런 의원은 여전히 대선 불출마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정치 전문가들은 힐러리의 지지율 추락 등 정치적 상황이 급변할 경우 워런 의원이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대선판에 나서게 되는 상황을 맞이할수도 있다는 관측을 놓고 있다.
<김영경 객원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