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주영(웨체스터 시드학원 원장)
“9430. 그래, 너는 결코 바뀔 수 없어!”라고 형사 자베르는 소리쳤을 것이다. 그러나 장발장은 180도 달라졌다. 무엇이 그를 변화하게 하였는가? 레미제라블의 장발장은 신념(principle)이 바뀌면 새로워진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전해주고 있다. 그는 ‘정직’을 신념으로 받아들이자, 새 인격의 사람이 되었다.
그러나 장발장의 변화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빅터 위고는 장발장을 통해 끊임없이 갈등하는 인간의 내면, 인간의 마음을 묘사하고 있어서 우리에게 더욱 현실적으로 다가온다. 장발장은 미리엘 주교에게 감화를 받아 새 사람이 되기로 마음먹었지만, 소년 프티제르베라의 40수짜리 은화가 굴러오자, 발로 밟아버려 돈을 뺏었다. “그의 본능이 이성보다 좀 더 많이 그를 지배하고 있었던 것이다.”
시간이 흘러서, 장 발장은 사업을 성공시켜 가난에서 허덕이는 한 고장을 번영시키며, 선량한 마들렌(Madeleine) 시장이 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행복은 그리 오래 가지 못했다. 가석방 상태에서 사라졌기에 도망자 신분이었던 그는 샹마티외(Champ Mathieu)라는 사람이 장발장으로 고발되어 종신형을 선고 받게 될 위기에 처하자, 그는 이기심과 이타심(altruism) 사이에서 몸부림쳤다. 장 발장은 샹마티외를 외면하고 싶었지만, 이미 그의 속에 자리 잡은 “정직”이라는 사상을 뛰어넘지 못하였다. 그는 샹마티외를 석방시키기 위하여 법정에서 자신의 신분을 노출하여 죄수 9430이 되었다.
그 후 장 발장은 주저하지 않고 수 없이 자신을 희생하였다. 마침내는 자신을 평생 쫒아 다니며 괴롭혔던 형사 자베르의 목숨을 아무런 대가 없이 살려 주어 자베르의 영혼까지 무릎 끓게 하였다. 빅터 위고는 “사람의 성격도 바위처럼 물방울로 구멍이 뚫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파인 것은 지울 수 없고, 그렇게 형성된 것은 부술 수 없다.”라고 말해주고 있다.
장발장의 삶을 보면서 변화는 혁명적으로(revolutionary) 단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점차적인 변화(evolutionary change)가 진정한 혁명을 실현한다는 진리를 발견하게 된다.
진리는 프랑스어로 Lumiere 인데, 태양을 상징하고 신(God)이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신의 섭리를 깨달은 자가 참된 진리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그런 사람들의 눈빛은 빛나며 얼굴에서는 광이 난다. 그래서 우리는 성화에서 성자를 감싸는 금빛 태양의 헤일로(halo)를 그리는 것일 것이다.
인생의 데마스커스(Damascus)길에서 “진리의 빛”을 비췸을 받아 계몽의 문(delta)을 여는 사람들을 레 일루미네이(Les Illumines)라 부른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