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 총리와 대통령 `세계 2~3위 영향력’
호주의 길러드도 사상 첫 여성 총리 기록
아르헨·덴마크·태국 등도 여성이 이끌어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승리, 첫 여성대통령 당선 기록을 세우게 되면서 전 세계의 여성 정치지도자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정치지도자로는 단연 독일 최초의 여성 총리에 오른 앙겔라 메르켈(58)이 꼽힌다.
유럽연합(EU)의 핵심 국가 독일의 수장으로서 유로존 긴축정책을 주도하는 그는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에 견주어 ‘독일판 철의 여성’으로 불린다.
그는 올해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100인’ 가운데 1위를 차지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에서도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 이어 2위로 선정됐다. 기독교민주당(CDU) 소속으로 물리학 박사 경력을 가지고 있어 이공계 출신의 우파 정치인이라는 점은 박근혜 당선인과 닮았다.
남미 최대국 브라질을 이끄는 지우마 호세프(64) 대통령도 영향력이 높은 대표적 여성 정치지도자다. 포브스의 ‘영향력 있는 여성’ 순위에서 3위를 차지한 호세프 또한 브라질의 첫 여성 대통령이다. 최근 조사에서는 80%에 가까운 지지율을 기록했다.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전 대통령의 후계자로 지난 2010년 집권 노동자당(PT) 후보로 나서 당선됐다.
변호사 출신의 줄리아 길러드(51) 호주 총리는 미혼으로 호주 사상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됐다. ‘파트너’인 남자친구 팀 매티슨과 총리공관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다.
이외에도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57) 아르헨티나 대통령, 헬레 토르닝-슈미트(45) 덴마크 총리, 셰이크 하시나(65) 방글라데시 총리,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 아이슬란드 총리(70) 등이 여성으로서 국가를 이끌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등도 국가수반은 아니지만 강력한 여성 지도자로 꼽힌다.
아시아권에서는 남편이나 남자 가족구성원의 후광을 입어 여성으로서 국가 최고지도자에 오른 경우가 많았다. 탁신 친나왓 전 총리의 여동생인 태국의 잉락 친나왓(45) 총리가 현직 가운데서는 대표적이다. 필리핀의 코라손 아키노 전 대통령도 1983년 야당 지도자였던 남편 베니그노 ‘니노이’ 아키노가 암살당하자 정치에 뛰어들었다.
세계 최초의 여성 총리로 기록된 스리랑카의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전 총리 또한 평범한 주부였으나 남편인 솔로몬 반다라나이케 전 총리가 1959년 암살된 이후 정치에 입문했다. 사상 최초의 여성대통령 역시 남편의 사망으로 1974년 대통령직을 승계하게 된 아르헨티나의 마리아 에스텔라 마르티네스 데 페론(이사벨 페론)이
다.
이밖에 역사에 남아 있는 여성 지도자로는 1979년부터 1990년까지 영국을 이끌며 강한 리더십을 발휘, ‘영국병’을 치유했다는 평가를 받는 ‘철의 여인’ 마가렛 대처 전 수상과 좌우 대립이 극심했던 칠레 사회에서 국민 통합에 기여한 미첼 바첼레트 전 칠레 대통령(2010년 퇴임)도 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