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는 굽어지고 지팡이를 든 한 노인이 노래를 흥얼거리며 산길을 가고 있었다. 노인은 뙤약볕에 땀을 뻘뻘 흘리면서 지팡이로 박자까지 맞추며 신나게 노래를 흥얼거렸다.
목을 쭉 빼고 노인을 바라보던 길가에 나루 꽃이 고개를 갸웃거렸다.
“안녕하세요? 할아버지! 할아버지도 인생을 거의 다사셨는데 뭐가 그리 즐거우세요? 이제 저는 곧 시들어 슬퍼서 죽을 것 같은데요”
할아버지는 “그래서 나를 불렀구나! 그러나 너무 슬퍼하지 마라. 나도 머지않아 세상을 떠난단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순간이야! 이미 지나버린 과거나 아직 오지 않는 미래 때문에 현재를 망칠 수는 없지 않겠니?”
이 일화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이 아무리 어려워도 살아있는 이 순간이 참으로 감사하고 소중하다는 것을 가르쳐 주고 있다. 옛말에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낫다”라는 표현이 있는 것처럼, 살아있는 ‘현재’가 중요하다.
인간은 때로 순간을 살면서도 과거에 얽매여 있을 때가 많다. 문제는 내가 과거를 어떻게 생각하느냐, 과거의 무엇을 더 소중하게 생각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래서 과거의 행복했던 순간보다 불행했던 기억을 생각하는 것이 사람의 마음인 것 같다.
“어제는 부도난 수표이고 내일은 약속 어음이며 오늘은 준비된 현금”이란 말이 있다. 소금 3%가 바닷물을 썩지 않게 하듯이 사람의 마음 가운데 3%의 좋은 생각만 있어도 좋은 삶을 살아간다. 인생은 살다보면 늘 부족하고 아쉬움이 더 많다.
한국이나 미국도 이제는 의학의 발달로 수명이 길어지고 독거(獨居)노인도 점점 늘어가고 있다.
현대는 사랑의 부제(不在)시대 라고 한다. 사랑과 행복은 객관적이 아니고 주관적이라고 한다.
모든 사람의 마음 근저(根底)에는 인간이 인간답게 살고자하는 갈구가 있다. 이 세상에는 무엇이라도 혼자서는 태어나지 않는다. 기쁨은 슬픔과 함께, 소망은 낙망 속에 싹트지 않는가.
때로는 오늘이 생의 마지막이라고 여기며 살아가는 자세도 필요하다. ‘마지막’이라는 놀라운 힘을 실어준다면 삶이 얼마나 진실 되고 의미가 깊은가! 이 세상을 떠나가는 진짜 마지막 날에 내 삶은 참 행복했다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9월, 가을의 문턱에서 상념(想念)에 잠겨본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