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아침산책을 놓치면 저녁 무렵에 집을 나선다.
어스름녘이 없이 갑짜기 찾아드는 어둠 때문에 오후산책은 마음이 바쁘지만 겨울저녁 의 하늘과 산 과 들 은 가슴 떨리게 아름답다.
창백한 노랑색에 엷은 회색이 훑고 지나간 하늘은 얼음모양 반짝여서 눈이 시리고, 벌거벗은 검은 나무들은 영욕의 세월을 지나온 늦깍기 수도승 모양 처연하다. 새 들과 다람쥐 들은 또 하룻밤의 잠자리를 위해 숨어드는데 먹이 사냥에 정신팔다 늦은놈들의 퍼득거리는 소리가 갈길이 먼 나그네의 심정으로 몰아간다.
대기는 나무타는 냄새로 향긋해서, 오막사리 굴뚝에 실연기 오르는 내고향 들길을 걷는듯한 몽상에 잠기게 하고, 늙은 나무가지에 걸린 거미줄엔 벌레조차 없어 폐업한 상점모양 쓸쓸하다.
[해는 졌고 언덕들은 희미하다. 내 마음의 산맥에는 산 꼭대기에 빛이 조금 남아 있는데, 성 스러운 밤 이 감돌고 있으니, 나는 아직 피곤하지 않지만 돌아가야 한다. 내 집으로- 땅 으로-. 보이는것, 듣는것, 냄새, 감촉, 맛, 지성,- 나는 내 연장들을 거둔다.]
영원한 크레타 의 연인 카잔차키스의 생 을 마치는 순간의 독백이 떠오른다.
천지의 생성과 인간의 생성은 같아서, 지구 라는 존재의 조건과 꼭 같은 지, 수, 화, 풍 으로 이루어진것이 사람이라니, 이곳에서의 삶이 끝나면 물질인 육신은 흙과 물과 바람으로 돌아가고, 하나님이 불어넣으신 영혼은 구만리 창공을 날아 그분에게로 돌아갈뿐인데, 아직도 죽음이 내게 슬픔인것은 긴 이별이기 때문이다.
먼데서 반가운 사람이 올때, 이미 헤어질때의 고약한 기분을 생각하여 그순간의 기쁨에 방해를 받는, 한마디로 ‘걱정도 팔자인 사람’.
그래서 마음은 보고싶은 사람이 있는곳으로 수시로 날아간다.
흙을 사랑하다 흙으로 돌아간 어머니, 그 오대산 산 자락에 서면, 어느새 그날처럼 비가 내리고,그리운 친구가 있는 서울로 가면, 음울한 겨울하늘아래 표정없는 인파에 부대끼며 거리를 걷는다. 먼지섞인 바람이 휘몰아치고 코끝이 얼어붙어 예쁜사람이 없게 만드는 서울의 겨울, 거기에 그리움이 있다.
이별은 나에게 고통이지만, 내가 떠날때에는 아무도 슬퍼하지 않기를 바란다.
하루일 을 마치고 굳은 허리를 펴며 주섬주섬 연장을 거두어 일몰의 집으로 돌아가는 농부모양 그렇게 떠나고싶다. 아무도 모르게.
문득, 집집마다 정성을 들인 Christmas 장식들이 빛나기 시작한다.
하늘은 차가운 핑크가 더해지고 어둠이 안개처럼 내려앉는데,저녁산책은 끝나고 마음은 먼 여행에서 돌아와 따뜻한 외등이 켜진 대문앞에서 날개를 접는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