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 20주년 기념 헌정 음반 제작·공연 개최
조재현과 배두나, 신해철 등 유명 연예인들이 박노해 시인의 `노동의 새벽’ 출간 20주년 기념 사업을 위해 한마음이 됐다.
1984년 발간된 `노동의 새벽’은 한국 민중문학사에서 기념비적인 작품. 당시 풀빛출판사에서 출간됐으나 출간 20주년을 맞아 도서출판 `느린걸음’에서 복간했다.
`노동의 새벽’ 2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노동의 새벽’ 헌정 음반을 제작하고 공연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노동의 새벽’에 수록된 20편의 시가 노래로 만들어졌다. 이로써 박노해 시인은 이를 포함 총 30여편의 시가 노래로 만들어져 김소월 시인과 함께 가장 많이 노래로 불리어지는 시인이 됐다.
15곡이 수록된 헌정 음반에는 장사익의 `노동의 새벽’, N.EX.t와 싸이의 `하늘’,윤도현의 `이 땅에 살기 위하여’, 한대수의 ‘겨울새를 본다,’ 정태춘의 ‘바겐세일’ 등이 수록됐다.
박노해 시인 후원회의 멤버이기도 한 배우 조재현은 추진위원단에도 속했다. 또 10일 오후 7시 30분 서울 이화여대 대강당에서 열릴 기념공연의 사회를 맡아 박 시인에 대한 뜨거운 애정을 표현한다.
신해철은 헌정 음반의 총프로듀서를 맡았으며, 기념 공연을 진두지휘한다. 또한 배두나는 기념공연의 포스터에 모델로 섰다. 물론 무료다. 배두나를 모델로 한 포스터의 사진은 영화 `인터뷰’,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파이란’ 등 영화 포스터 사진을 찍은 강영호씨가 촬영했다.
10일 열릴 공연에는 장사익, 신해철, 싸이, 한대수 등 음반에 참여한 가수들이 대부분 출연한다. 이들 외에 국악인 황병기, 안숙선씨도 무대에 오를 예정.
이 공연과 음반의 수익금은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인권보장을 위한 기금으로 쓰인다. 이주 노동자 장례 및 유골 유해귀환 사업지원, 이주 노동자 자녀 교육시설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조재현은 이 시집을 읽고 청춘을 보냈던 386세대뿐 아니라, 현재의 젊은이들도 이 공연을 많이 관람해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가 지금의 민주화를 이뤘는지 생각해보고, 아직도 해야 할 많은 일들이 남아있음을 느꼈으면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가희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