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달밤>과 <슈렉>이 올 여름 확실히 ‘사고칠’ 분위기다.
두 작품이 갖고 있는 흥행성이 각각의 장르에서 신기록에 근접하거나 깰 수준이다. <신라의 달밤>(좋은영화, 김상진 감독)이 속한 코미디 장르와 <슈렉>(드림워크스)의 애니메이션에선 아직까지 서울 100만 명 이상 관객을 기록한 영화가 없다. <주유소 습격사건>과 <라이온 킹>이 각각 100만 문턱에서 좌절했다.
그 좌절을 <신라의 달밤>과 <슈렉>이 각각 깰 태세다. 두 작품이 주는 재미가 <주유소 습격사건> <라이온 킹>을 웃도는 수준이다.
<신라의 달밤> 차승원 김혜수 이종수 등이 엄청 웃긴다. 이들을 앞장 세운 영화는 ‘웃기기도 힘든데 무슨 의미까지 찾느냐. 그냥 한 번 웃자’ 고 권하는 작품답게 일단 상당한 웃음을 보장한다.
방법도 단순하다. 개성 강한 캐릭터를 더욱 강하게 다듬은 다음 이 캐릭터들을 연속 충돌시켜 자연스럽게 웃음을 터뜨린다.
짙은 눈썹을 씰룩이며 살짝 살짝 ‘오버’하는 차승원과 이종수, ‘눈물 찍 콧물 찍’으로 파출소 경찰에게 읍소하는 김혜수 등은 웃길 뿐 아니라 귀엽다.
적당한 반복으로 웃음 코드를 확보하는 김상진 감독의 연출 또한 억지스럽지 않아 반갑다.
이 모든 즐거움도 이성재가 차분하게 버텨준 덕택에 가능했다. 이성재는 수시로 튀고 싶은 유혹을 억누르며 이야기를 안정감 있게 만들어, 동료들이 마음껏 웃길 수 있는 마당을 제공했다.
<슈렉>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익숙한 영화 팬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는 작품이다. 기존 동화 또는 애니메이션에 대한 조롱과 뒤집기를 작정한 티가 역력하다.
작정한 뒤집기 덕택에 <슈렉>은 곳곳에서 엽기에 가까운 느낌을 안겨주며 웃음을 터뜨리게 만든다. 웬만한 코미디 영화보다 훨씬 더 웃기는 비결이 여기에 있다.
<슈렉>은 이 때문에 미국 흥행에서도 <미이라2>를 제치기도 했으며, 칸 국제영화제에는 할리우드 애니메이션 사상 처음으로 본선 초청을 받기도 했다. 흥행과 작품성 모두에서 인정받았다는 반증이다.
<슈렉>에선 <미녀와 야수> <글래디에이터> <와호장룡> <매트릭스> <잠자는 숲 속의 공주> 등 숱한 명작들을 패러디 한 장면이 많으므로, 이를 비교 감상하는 것도 재미있다.
정경문 기자 moonj@dailysports.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