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에 이름을 알린 모델이라면 배우로의 변신은 따놓은 단상일 것 같은데 의외로 배우로 성공한 모델이 많지 않다. <아메리칸 지골로> 에 출연했던 로렌 허튼은 최근 초라한 조연으로 이따금 얼굴을 비추는 정도라 <그린 카드>이래 꾸준히 성장한 앤디 맥도웰과 대조가 되고 있다.
슈퍼 모델들도 아직은 탐색전에 그치는 느낌이다. 독일의 슈퍼 모델 클라우디아 쉬퍼는 아벨 페라라의 <블랙 아웃>으로 칸 영화제를 찾기도 했으나 좀 더 두고 봐야겠고, 미국의 신디 크로포드는 <페어 게임>과 같은 진부한 액션물에 출연해 혹평을 들었다.
영국 출신의 흑인 모델 나오미 캠벨이 그나마 모범적으로 스크린을 방문하고 있는 것 같다.
비중은 작지만 탄탄한 영화에 꾸준히 출연하기 때문이다. 온 가족이 각기 새로운 연인을 찾아 나섰다가 반려자에게 돌아온다는 코믹 멜로물 <마이애미 랩소디>에서 TV만 보는 남편에게 불만을 느껴 외도하는 모델로, 정신 이상자에게 걸려든 여인을 그린 서스펜스물 <프라이버시>에서는 여주인공을 돕는 친구로, 폰 섹스 걸이 된 여배우 지망생 이야기 <걸 6>에서는 폰 섹스 걸로 출연했다. 패션계의 이면을 그린 <패션 쇼>와 <언지프>에서는 캠벨이 실명으로 출연해 ‘검은 브리지트 바르도’ 의 자태를 과시했다.
마침내 캠벨의 개성에 흠뻑 빠져들 수 있는 주연작이 출시되었다. 스티브 디마르코의 1999년 작 <프리즈너 오브 러브(Prisoner of Love)> (15세, 아이비전). 인질로 잡힌 여인으로 분해 옷을 많이 갈아입지 않는 것이 아쉽지만, 완벽한 몸매를 드러내는 드레스, 셔츠, 청바지 차림에다 헤어 스타일에서 걸음걸이까지, 그녀만의 매력이 넘쳐 난다.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데 연기도 평균치를 상회하니 무얼 더 바랄까 싶다.
살인 사건을 목격한 화가 지망의 바텐더 트레이시(나오미 캠벨)를 죽이라는 명령을 받은 착한 갱 조니(에릭 탈)는 그녀에게 사랑을 느껴 외딴 건물에 가둬두고 정성껏 돌본다.
탈출 기회만을 노리던 트레이시도 조니의 진심에 마음이 기울고.
♧감상 포인트 : 트럼펫과 섹스폰 선율, 살인과 폭력이 함께 하는 사랑 이야기.
<비디오 칼럼니스트>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