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병은 죽지 않고, 다만 사라질 뿐이다.”
트루먼과의 불화로 해임된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그가 해임 이틀 후인 1951년 4월 19일 미국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행한 연설의 마지막 구절이다. 52년 군생활을 뒤로하고 홀연히 떠나는 심정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처럼 보이지만, 맥아더 흉중에는 트루먼에 대한 불만이 가득했다.
실제로 트루먼과 맥아더 모두 야인이 된 1956년 반박 입장문을 내놨다. 명령 불복종을 이유로 단행된 해임 조치는 군사적, 정치적으로 모두 온당치 못했다고 비판했다. 한국전쟁 유엔군 희생자 5분의 3 이상이 확전 가능성을 이유로 자신이 해임된 이후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트루먼이 맥아더의 대권주자 부상을 차단하려 했다고 폭로했다. 맥아더의 대선 후보 가능성은 꽤 높았다. 미국 여론의 66%가 해임에 반대했으며, ‘노병은 사라질 뿐’ 연설 직후 공화당 지지자들이 그의 후보 옹립을 요구했다.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전 대통령은 ‘불운한 군인’을 자처했다. 1963년 8월 30일, 민정 참여를 결정한 뒤 강원 철원군 제5군단 비행장 내에서 전역식을 가졌다. “조국 재건을 위하여 항구적 국민 혁명의 대오, 제3공화국의 민정에 참여할 것을 결심했다”고 밝힌 뒤 이렇게 말했다. “다음의 한 구절로써 전역의 인사를 대신할까 합니다. 다시는 이 나라에 본인과 같은 불운한 군인이 없도록 합시다.” 박 전 대통령을 둘러싼 공과 논란만큼이나, 국난 상황에서 군인의 역할이 뭔가에 대한 논쟁을 낳은 발언이었다.
헌법재판소 대통령 탄핵 심리에서 ‘군인의 올바른 길’이 이슈로 떠올랐다. 증언대의 일부 군인들이 검찰 진술과 다른 발언을 내놓은 것이 계기가 됐다. 국회 측 변호인이 계엄에 항명하지 않은 걸 탓하며 ‘불행한 군인’으로 몰아세우자, 3성 장군은 “위험 상황에서 이것저것 따지는 게 행복한 군인인가”라고 반문했다. 또 “문민통제 체제에서 군인이 대통령이나 장관 명령이 위법이라고 생각해 반기를 들면 그게 바로 쿠데타”라고 강조했다. 헌재 결론과 상관없이, 어떤 군인을 둬야 행복한 나라인지 확인하려면 꽤 많은 시간이 필요할 듯하다.
<
조철환 / 한국일보 오피니언 에디터>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2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계엄은 대통령의 고유권한. 이걸 내란으로 둔갑시켜 선동하는 민주당. 그에 맞춰 춤추는 비겁한 판개들.이것들은 법복입은 사기꾼들. 군인들은 명령에 복종했으니 무죄 안한 군인들이 유죄. 곽종근같은 질질짜며 증언내내 왔다갔다하는 놈들이 쓰레기. 군인. 이러니 야당 박범계가 2시간동안이나 서로 입을 맞췄지.
웃기고 있네. 지 마누라 비행이 점점 노출화되고 더 이상 덮을수 없는 수준까지 가자 쿠데타를 일으켜 모든 정적들 (야당인사, 연예인, 판사, 운동선수등등) 을 싹 잡아들여 족치려 했던 윤석열이다. 이걸 감싸고 아직도 종북세력 탓하는 밑에 tyghn 정신 좀 차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