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소설가 김훈의 에세이 ‘밥벌이의 지겨움’을 패러디 했습니다.)
아! 밥짓기의 지겨움!! 소설가 김훈은 ‘밥벌이의 지겨움’이라는 책으로 거리에 내몰린 노동자들의 비애를 노래했으나, 밥하느라 집 안에 갇힌 노동자의 괴로움은 헤아려 보았을까. ‘밥짓기’, ‘글짓기’에서 ‘짓다’라는 동사가 함께 쓰이는 걸 보면 두 행위에 공통점이 있을 터인데, 글을 지어 돈을 버는 사람에게도 ‘밥짓기’의 고단함은 왜 생략되었을까.
건강한 집밥에 대한 신화, 돌봄 노동을 당연하게 여기는 문화는 ‘밥짓기’의 본질적인 지겨움을 가렸다. ‘밥짓기’는 냉장고에 썩는 재료 없이 알뜰하게 경영하고, 영양소에 맞춰 메뉴를 상상해 만드는 고차원적인 노동이다. 하지만 이것이 특별한 누구 한 명만이 할 수 있는 위대한 일이 될 때, 신이 된 자는 입을 열 수 없게 된다. 숭고한 희생에 값을 매길 수 없듯이, 신화화된 ‘밥짓기’도 경제적 가치로 환산되지 못한다. ‘밥짓기’는 정성과 상상력만 있으면 누구나 배워 할 수 있는 일상의 노동이고, 무거운 바위덩이를 산 정상으로 끝없이 밀고 올라가야 하는 시지프의 형벌 같은 지리멸렬한 반복이다.
콩나물을 한 번이라도 스스로 다듬어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술이 덜 깬 동거인을 위해 콩나물국을 아침으로 차려 놓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알 수 있다. 콩나물 다듬기에는 꼼수가 없다. 바쁜 아침에 키가 들쭉날쭉한 아이들을 일일이 손질하는 데는 인내심이 필요하다. 하지만 공들여 만든 콩나물국도 호로록 마셔버리면 끝이다. 준비한 시간에 비해 식사 시간은 언제나 짧다. 속이 쓰려 밥상 앞에 인상 찌푸리고 앉아 있는 사람에게 ‘국물은 파 뿌리랑 무로 채수 낸 거고, 쪽파는 텃밭에서 키운 거야.’라는 말을 해보지만 밥 짓기가 주는 본질적인 허무함을 채울 수는 없다. 하루에도 몇 번씩 양념 묻은 그릇으로 가득 찼다가, 다시 깨끗하게 비워지는 개수대를 보고도, 다시 한번 새 끼니를 준비할 힘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나는 밥짓기를 지겨워하는 모든 사람의 친구가 되고 싶다. 시간 들여 밥 지어 주는 것이 얼마나 큰 마음 표현인지 아는 사람들을 모아, 밥을 지어주고 싶다. 우리는 그 온기를 서로 나눠 먹은 후, 집에 돌아가 끝끝내 다시 돌아온 시지프의 바위덩이를 밀어낼 수 있을 것이다. 친구들아, 밥짓기에는 아무 대책이 없다. 그러나 우리들의 목표는 끝끝내 밥짓기가 아니다. 이걸 잊지 말고 또다시 각자 꾸역꾸역 밥을 짓자. 무슨 도리 있겠는가. 아무 도리 없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