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드림을 위해 휴일 추가 근무도 마다하지 않고 일을 쫓아다니는 야망에 가득 찬 직장인은 이제 보기 어려워졌다."
미 경제신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친 뒤 미국의 직장에서 이런 경향이 뚜렷하게 보인다고 지난달 31일자 기사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이 신문은 직역과 세대를 불문하고 미국 직장인들 사이에서 일과 생활의 균형(워라밸)을 추구하는 흐름이 분명해졌다고 평가했다.
많은 직장인이 3년간의 코로나19 시대를 거치면서 삶의 우선순위를 바꿨고 이에 따른 근무 태도 변화가 기업들의 휴가, 승진 등 여러 관행마저 바꾸고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회사가 마감 시한을 지키기 위해 추가 근무가 필요할 경우 'NO'라고 말하는 직원들이 늘어 결국 추가 인력을 뽑아야 할 지경이며, 간부 보임도 기피해 희망자를 미리 물색해야 하는 경우도 생겼다는 설명이다.
보험중개회사인 TGS의 최고경영자(CEO)인 데이먼 다이어먼태라스는 과거와는 달리 승진 인사 때 자원자를 찾기 어려워 미리 후보군의 의사를 파악하게 됐다고 전했다.
그는 요즘 근로자들은 기존에 맡고 있던 일을 그대로 하는 데 만족해하고, 일이 끝나면 친구들과 함께할 시간을 갖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스캐너 제조업체인 ZED디지털의 수미스라 자거나스 회장은 "적어도 지난 2년간은 과거에 일터에서 봤던 열정적인 사람들이 줄어들었다"며 이 때문에 엔지니어링 등 일부 일자리를 해외로 옮겼다고 밝혔다.
높은 보수 때문에 고강도 업무가 당연시되는 법률회사나 금융회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읽혀진다고 한다.
법무법인 닉슨피보디LLP의 CEO인 스티븐 주비아고는 판례 조사 등 마감을 앞두고 초과 근무자를 못 찾아 애를 먹곤 한다고 전했다.
마케팅 광고업체인 펄프+와이어는 여름과 겨울 휴가철에 휴가 신청자가 많아 아예 1년에 두차례 일주일씩 회사 사무실 가동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미국 직장인들의 태도 변화를 보여주는 설문조사도 있다.
소프트웨어 업체인 퀄트릭스가 작년 11월 직장인 3천명을 상대로 벌인 설문에서 최근 3년 사이 직장인으로서 성공 야망이 '줄었다'는 응답자는 36%로 '늘었다'는 응답(22%)보다 많았다.
삶에서 일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줄었다는 응답도 40%에 육박해 일의 의미가 더 중요해졌다는 답(25%)보다 훨씬 많았다.
WSJ에 따르면 미국의 시간당 노동 생산성은 작년 1분기 -5.9%(연율 기준), 2분기 -4.1%의 하락세를 잇다가 3분기에 0.8% 찔끔 상승했다.
이 신문은 이 흐름을 돌릴 수 있는 요인에 대해 "경기 침체가 실업률을 치솟게 하면 근로자들이 자신의 가치를 높이고자 더 열심히 일할 생각을 갖게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지만, 10월 현재 미국 내 실업자 1명당 비어있는 일자리는 거의 2개에 달한다고 소개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워라밸을 중시하게 된 미국 직장인들의 변화된 모습은 WSJ의 이번 보도에서 처음 소개된 것이 아니다.
작년 미국에선 직장인들이 맡은 최소한의 일만 소화한다는 뜻의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이라는 신조어가 큰 인기를 끌며 유행했는데, 갤럽의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이 이 조용한 사직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회사에 충성해서 받는댓가가 자신이 생각한 댓가보다 작아서 아닐까? 계산이 서로 맞지가 않는것이 문제일듯 CEO등 간부 연봉과 실제일 잘하는 핵심직원들의 연봉 설계가 바뀌어서 부의 불균형이 잡혀야 이런 현상이 근본적으로 바뀔것이다. 세상이 바뀌고 있다는 이야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