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단체, 시애틀 등 마일리지 제도개선에 집단소송 움직임
대한항공이 항공권을 구입할 때 최대 20%까지 마일리지로 낼 수 있는 ‘복합 결제’ 방안을 시범 도입하며 미주와 유럽 노선 티켓 구매에 필요한 마일리지 기준을 최대 87%나 올려 소비자들이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한국 시민단체인 소비자주권시민회의(소비자주권)는 최근 성명을 내고 “대한항공이 지난해 12월13일 발표한 마일리지 개편안은 소비자는 안중에도 없이 자신들의 이익만 극대화한 개악”이라며 “대한항공은 마일리지 대책을 전면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비자들은 현재 로펌을 선정해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으며 현재 참여자가 4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은 지난달 마일리지제도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한국 공정위가 요구해온 항공권 복합 결제(돈과 마일리지를 섞어 항공권을 사는 방식)를 도입한다고 발표했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항공권 구매에 필요한 마일리지 기준을 크게 올리고 적립 제도를 대폭 바꿨다. 이 방안은 오는 2021년 4월부터 실시된다.
대한항공은 마일리지로 항공권을 구매할 때 현재까지는 북미와 유럽, 대양주, 중동, 아프리카를 같은 그룹으로 묶어 이코노미는 편도 티켓에 3만5,000마일, 비즈니스는 6만2,500마일, 퍼스트클래스는 8만 마일을 요구했었다. 또한 이코노미에서 비즈니스로 승급하는 데는 4만마일이 필요했다.
하지만 이번 개편안은 운항 거리에 따라 차등을 두고 필요한 마일리지 포인트를 대폭 올렸다.
시애틀 노선 일반석의 경우 5,000마일이 늘어나면서 왕복 항공권의 경우 7만 마일로 1만 마일이 늘어났다. 특히 워싱턴DC와 뉴욕 등 미 동부구간의 경우 이코노미는 편도 1만마일 늘어난 4만5,000마일로, 왕복기준으로는 2만 마일이 늘어난다.
비즈니스는 2만7,500마일이나 늘어난 9만마일로 크게 늘렸다. 이코노미를 비즈니스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기존 4만마일에서 2만2,500마일이 많은 6만2,500마일이 필요하게 된다.
반면 대한항공 이용 후 적립해주는 마일리지는 크게 줄어든다. 할인가격에 티켓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나 여행사에서 구매하는 가장 저렴한 이코노미 Q등급은 현재 마일리지 적립률이 70%지만, 2021년 4월부터는 25%로 대폭 낮아진다.
대신 퍼스트클래스 P등급의 200%, 비즈니스석의 100~135% 등 높은 적립률은 그대로 유지된다.
‘현금-마일리지 복합결제’는 오는 11월 실시되지만 이 역시 대한항공 홈페이지에서 항공권을 구입할 때만 복합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티켓을 싼 가격에 판매하는 할인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는 마일리지를 이용해 항공권을 살 수 없다.
소비자주권은 “공정위가 대한항공측에 마일리지 개편안을 재검토하라고 요청했지만 대한항공은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면서 “마일리지 개편안을 전면 철회하고 항공 마일리지 표준약관 제정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