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별세한 조양호 회장은 조중훈 창업주의 장남
▶ 국제 항공업계서 두각

조양호 회장이 7일 미국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고 대한항공이 밝혔다. 사진은 2017년 6월 윌셔그랜드센터에서 열렸던 델타항공과의 조인트벤처 협약 체결식에서 조 회장(왼쪽 다섯번째) 모습. 오른쪽에서 세번째는 장남인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 <대한항공 제공>
7일 LA에서 숙환으로 별세한 조양호(70) 한진그룹 회장은 한국의 항공 운송사업 외길을 45년 이상 걸어온 항공 전문가로 꼽힌다.
조중훈 한진그룹 창업주의 장남으로 1949년 인천에서 출생한 조양호 회장은 1964년 경복고등학교 입학한 뒤 미국으로 유학길에 나서 1968년 쿠싱 아카데미 고교를 졸업했다.
인하대 공업경영학과를 졸업한 이후 USC 경영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인하대 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양호 회장은 남가주와 인연도 깊어 USC 이사로도 활동했으며 자녀들도 USC를 졸업했다. 또 LA 다운타운에 미 서부 최고층 건물인 윌셔 그랜드 센터를 완공시키기도 했다.
조양호 회장은 이재철 전 교통부 차관의 장녀 이명희 씨와 1973년 결혼해 1남 2녀를 뒀다. 장녀는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장남은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 차녀는 조현민 전 진에어 부사장이다.
조양호 회장은 1974년 12월 대한항공에 입사한 이래 항공·운송사업 외길을 45년 이상 걸어온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국내·외를 통틀어 조양호 회장 이상의 경력을 지닌 항공·운송 전문가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설명이다. 조양호 회장은 정비, 자재, 기획, IT, 영업 등 항공 업무에 필요한 전 부서들을 두루 거쳤다. 1980년 대한항공 상무에 오른 조 회장은 본격적인 경영수업을 받고 1992년 대한항공 사장, 1996년 한진그룹 부회장, 1999년 대한항공 회장, 2003년 한진그룹 회장에 올랐다.
한진그룹에 따르면 조양호 회장은 1974년은 1차 오일쇼크가 한창인 시절 대한항공에 처음 발을 들였다. 1978년부터 1980년에도 2차 오일쇼크도 대한항공을 직격했다. 연료비 부담으로 미국 최대 항공사였던 팬암과 유나이티드항공은 수천명 직원 감원할 정도였다.
하지만 조양호 회장은 선친인 조중훈 창업주와 함께 줄일 수 있는 원가는 줄이되, 시설과 장비 가동률을 높여 불황에 호황을 대비하는 선택을 했다. 이는 오일쇼크 이후 중동 수요 확보 및 노선 진출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1997년 외환 위기 당시에도 자체 소유 항공기의 매각 후 재 임차 등을 통해 유동성 위기에 대처했다. 외환위기가 한창이던 1998년에 보잉 737 NG(Next Generation) 주력 모델인 보잉 737-800 및 보잉 737-900 기종 27대 구매 계약 체결한 점도 계약금 축소에 기여했다.
조양호 회장은 2003년 한진그룹 회장에 취임했으며, 2009년에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조양호 회장은 또 세계 항공업계에 폭넓은 인맥과 해박한 실무지식으로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스카이팀 등 국제 항공업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항공업계 내 조 회장의 위상이 ‘항공업계의 UN 회의’라고 불리는 IATA 연차총회가 올해 사상 최초로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하는 동인이 됐다는게 그룹 측의 설명이다.
지난달 대한항공 정기 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1999년부터 맡았던 대한항공 대표이사직에서 내려왔으며, 한진과 한진칼, 대표이사를 맡았고 진에어, 한진정보통신, 한진관광 사내이사를 맡아왔다.
조양호 회장은 1998년 엠브리 리들 항공대학에서 항공경영학 명예박사, 2006년 우크라이나 국립항공대학에서 항공경영학 명예박사를 받기도 했다.
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약력
▲1949년 인천 출생 ▲1974년 대한항공 입사 ▲1984년 정석기업 사장 ▲1989년 한진정보통신 사장 ▲1992년 대한항공 사장 ▲1995년 한국항공대학(정석학원) 이사장 ▲1997년 USC 재단이사 ▲1999년 대한항공 회장 ▲2000년 한불 최고경영자 클럽 회장 ▲2003년 한진그룹 회장 ▲2004년 한국방위산업진흥회 회장 ▲2008년 대한탁구협회 회장 ▲2009년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 ▲2014년 한진해운 대표이사 회장 ▲2014년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 ▲2019년 4월7일 별세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